[생각연구소] 음악으로 본 심리학의 재발견 / YTN 사이언스

[생각연구소] 음악으로 본 심리학의 재발견 / YTN 사이언스

■ 이동귀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앵커] 우리는 그날의 기분에 따라 음악을 골라 듣곤 하는데요 이처럼 음악은 심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걸까요? 오늘 (생각연구소)에서는 '음악과 심리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동귀 교수와 함께합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앵커] 저도 그렇지만 우리나라 사람들 음악 듣는 거 참 좋아하는 것 같아요 음악을 언제 처음 들었을까 생각해보면 아마 엄마 뱃속에서 먼저 듣지 않을까 싶은데, 태교 음악이 중요하다고 하잖아요 정말 태교 음악이 태아에게 효과가 있을까요? [인터뷰] 사람이 사실 청각을 언제 가지게 되는가를 봤을 때 태어나서 4개월 정도라고 이야기하거든요 [앵커] 태어난 이후에요? [인터뷰] 네, 태어난 이후 4개월 정도인데, 그전까지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거죠 그리고 그다음 달팽이관 같은 미세 기관들이 발달해야 하니까 2달 정도 필요하고 그래서 약 6개월 정도가 지나면 음악을 듣지 않는가,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보는데요 사실 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뭘 들었는지 우리는 알 수 없잖아요, 기억이 안나니까요 하지만 태어나기 3개월 전 6개월 지나면 외부 소리를 들을 수 있지 않나, 추측합니다 관련해서 실험을 했는데요 2011년에 캐롤라인 그라니에–데페르 연구팀, 감각지각을 연구하는 분들인데요 이 연구팀이 임신 35~37주 차 여성들에게 매일 두 차례씩 특정한 피아노 음을 들려줬습니다 아기가 태어나고 6주가 되었을 때 똑같은 음악을 아이에게 들려준 거예요 그랬더니 이 아이의 심장박동수가 이완되는 효과를 가졌다고 합니다, 차분해진 거죠 사실 이 피아노 음악이 흔한 음악이 아니었기 때문에 아이들이 들은 기억이 없을 거거든요 그걸 보면 아이들이 특정한 음악을 뱃속에 있을 때 듣고 기억하는 게 아닌가 생각 듭니다 [앵커] 그러니까 음악을 들을 수 없는 태아가 뱃속에서 듣던 음악에 반응했다니까 정말 인상적인데요 그런데 누구나 유년시절을 추억하는 노래 한두 곡 정도 있잖아요 그중에서 선생님들이 듣지 말라고 한 노래도 있을 텐데, 청소년기에 들은 음악이나 노래가 청소년 정서발달에 영향을 주기도 하나요? [인터뷰] 실제로 연관이 있겠죠? 실제로 범죄학 교수 맥과이어와 스나입스의 연구에 의하면 랩이나 헤비메탈, 이런 특정한 음악들이 실제로 아이들이 자랄 때 정서나 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다만 이들의 결과를 보면 특정하게 폭력적인 가사가 담긴 것들을 듣게 되면 단기간적으로 공격성이 많이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런데 장기, 종단 연구를 해본 건 아니거든요 그때는 그런데 그 이후에는 어떻게 되는지 아직 잘 모르는 거죠 그래서 사실 지금 현재 시점에서는 특정한 노래나 아티스트의 어떤 특정한 장르가 우리 아이들이 자랄 때 안좋다고 꼬리표 붙이기는 어려울 것 같고요 앞으로 장기적으로 관찰을 해봐야겠죠 제 생각에는 아마 정서발달에 특별히 나쁜 음악이 있다기보다는 자기 나잇대에 맞는 음악을 듣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아직까지 정서조절이 잘 안 되는 청소년 같은 경우에 폭력적인 내용이 담기는 것 같은 것, 그건 좋지 않겠죠 성인들이야 큰 문제는 없겠습니다만요 [앵커] 저도 학창시절에 발라드나 잔잔한 음악을 좋아했는데, 정서발달에 영향이 있지 않았나… [앵커] 성격이 잔잔하신가 봐요 그런데 성인의 경우 운전할 때 어떤 음악을 듣느냐에 따라 사고 위험성이 달라진다고 들었는데, 이건 무슨 이야기인가요? [인터뷰] 영국의 리서치 전문업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