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폭침 5주기…꼬여만 가는 남북관계

천안함 폭침 5주기…꼬여만 가는 남북관계

천안함 폭침 5주기…꼬여만 가는 남북관계 [앵커]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남북관계는 좀처럼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단행된 5·24 조치의 빗장을 열지 못하고 있는 건데요. 꼬여만 가는 남북관계, 지성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천안함 폭침 5주기를 앞두고 북한의 최고권력기구, 국방위원회는 천안함 사건이 자신들과 무관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의 5·24 대북제재 조치 해제를 요구했습니다. [조선중앙TV] "더 이상 시간을 끌지 말고 천안호 침몰 사건을 구실로 꾸며낸 악명 높은 5·24조치를 지체없이, 즉시에 해제하라는 것이 우리의 변함없는 주장이다." 정부는 즉각 북한의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김민석 / 국방부 대변인] "(천안함 사건은) 북한이 폭침 시킨 소행이기 때문에 그런 북한의 변명은 우리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게 (우리의) 기본입장입니다." 통일부는 "5·24 조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북한의 책임 있는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남북은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 임금인상 문제를 놓고도 팽팽한 기싸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우리측의 협상 제안에 북한은 전혀 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대북전단 살포 문제도 마찬가지. 지난 22일 북한이 대북전단을 뿌릴 경우 모든 수단을 동원해 타격하겠다고 위협하자 우리 군은 "북한이 도발하면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한 탈북자단체가 전단 살포를 임시 중단하겠다고 선언했지만, 또 다른 탈북자단체는 "전단을 계속 날리겠다"고 밝혀 충돌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천안함 폭침이 발생한 지 5년. 꼬일대로 꼬인 남북관계를 풀어낼 실마리가 좀처럼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email protected]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