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 '해경선 침몰' 공방…외교갈등 비화 조짐
한중 '해경선 침몰' 공방…외교갈등 비화 조짐 [앵커] 중국어선에 의한 한국 해경정 침몰 사건을 둘러싼 한중 양국의 갈등 기류가 심상치 않습니다.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로 촉발된 갈등 관계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준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불법조업을 하던 중국어선이 우리 해경정을 들이받아 침몰시켰다는 소식이 전해진 뒤 중국은 '냉정과 이성'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나 해경정 침몰지점 좌표를 본 다음에는 태도가 180도 변했습니다. [겅솽 / 중국 외교부 대변인] "(한중어업) 협정의 규정에 따르면 한국해경이 이 해역에서 집법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법적근거가 없습니다." 우리 정부는 중국의 주장을 억지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 수역에서 불법조업을 하던 중국어선을 현장에서 적발해 추적하다 사건이 벌어졌고 이런 추적권은 국제법적으로도 정당하다는 것입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국정감사에서 단호한 대응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박병석 / 더불어민주당 의원] "중국 입장이 (갑자기) 바뀌었어요. 우리 외교부 입장은 어떻습니까?" [윤병세 / 외교부 장관] "법집행기관에 대한 직접적 도발이라는 점에서…(중국에) 국제법에 따른 조치이자 국내법에 부합하는 조치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중국이 갑자기 태도를 바꾼 것은 이번 사건이 양국의 해양주권 경쟁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양국은 이르면 이달말 '한중어업문제 협력회의'를 열고 이번 사건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기본적인 관할권을 놓고 이처럼 큰 입장 차이를 보이는 만큼 접점 찾기는 쉽지않아 보입니다. 특히 중국의 일부 관영언론은 우리 해경의 함포사용 단속 방침에 "미쳤다"는 표현까지 동원하며 강경 여론 몰이에 나섰습니다. 연합뉴스TV 이준삼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