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 후 유골 처리법 - 잘못하면 생기는 일 - 대구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청룡암 보결
#화장_후_유골_처리법 #잘못하면_생기는_일 #점집추천 #점집후기 #용한무당 #용한점집 #대구점집 #대구점집추천 #삼재풀이 #살풀이굿 #재수굿 #점잘보는집 #청룡암_보결 청룡암 보결 상담문의 : 010-4074-1227 신당위치 : 대구 달서구 선원로 [굿엔트]촬영문의 010 9768 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인스타그램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화장 화장(火葬)은 시신을 불에 태우는 장례 방법을 말한다 영어로는 cremation이라고 한다 화장 과정은 주검을 고열의 풀무에서 완전히 태우는 방법으로 행한다 화장은 크게 화장장 혹은 승화원 안에 주요 설비가 화장로 내에 있는 일체형과 그 위에 분리되어 있는 분리형이 있다 분리형 중에는 대차라는 내화성이 있는 관 운송 장비 위에 운구를 올리고 화장한 후 남은 뼈를 모으는 대차식을 제외하면, 대부분 위아래로 나오는 불로 태우고 밑으로 떨어진 뼈를 긁어모으는 식이다 효율은 대차식이 훨씬 안 좋지만, 시신의 훼손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중국과 한국과 일본의 경우는 대차식을 사용한다 대차식은 메인 버너와 보조 버너로 나누어지며, 연소실도 1차 연소실과 2차 연소실로 나누어지는데, 1차 연소실은 메인 버너를 사용해 관과 시신을 소각하며, 셋팅 온도는 약 700~750℃ 정도로 되어있고, 2차 연소실은 1차 연소실 위에 있어서 보조 버너를 사용해 불완전 연소된 가스들을 다시 태워낸다 대차 하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로 인해 연소제어가 어려워 잘 안 되기 때문 참고로 주 버너는 보통 안쪽 상부 모서리에 장착되어 있으며 가스 화장로의 경우 40~50kg/h의 연료를 사용해 화장이 진행된다 여담으로 관과 부장품, 시신의 살을 태울 때 들어가는 연료는 그리 많이 들지 않고, 남은 뼈를 가루로 만들고 보관할 수 있도록 바싹 태우는 데 드는 연료가 더 많다고 한다 이것도 제어 시 프로그램이 있는데, 살이 거의 다 탄 이후부터 설정온도가 화장로마다 다르지만 900~1,000℃로 올라간다 관내에 화장터가 없는 사람이 사망한 경우 유족이 타 지자체에 있는 화장터에 무려 100만원 가량을 지불하여 재정에 안습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는 외지인의 화장시설 이용을 억제하려는 측면이 크며 님비에 대한 일종의 페널티라는 해석도 있다 시체를 태우면 하얀 뼈가 남는데, 이걸 갈아 그 가루로 만들며, 보통 '봉안당'에 모시는 경우가 많고, 매장문화와 결합하여 봉안묘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 드라마에서 화장된 뼛가루를 강가에 뿌리는 장면이 나오는데 현실에선 강의 오염 문제로 인해 불법이다 다만 바다에 뿌리는 건 정부에서 문제가 없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 뼈도 2차 가공을 해서 사리 비슷하게 만드는 보존기술이나, 고온·고압을 가해서 다이아몬드화(化)시키는 기술도 개발된 적이 있으며, 반려동물의 화장에는 이미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 중이다 최근에는 '수화장', '바이오 화장'이라고 부르는 새로운 장례법이 등장했는데, 2000년대 미국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시신을 불로 태우는 것은 아니고 물에 담가 알칼리 분해를 시키는 것이지만 뼈만 남긴다는 것은 맞기 때문인지 아예 표현 자체를 'water cremation', 'bio cremation' 이라고 명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시신을 강알칼리성 용해액에 넣고 고온으로 가열해 수시간에 걸쳐 뼈만 남기고 용해시키는 방식 완료된 후에는 보통의 화장처럼 뼈를 분골하여 유족에게 인도하게 된다 원래 불교에서 유래한 장례법인 만큼, 불교에서는 인간의 육체를 정화하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장례문화로 들어와 고려시대까지 화장을 했다 불교에서 화장은 다비식이라고 부른다 불교에 영향을 준 힌두교도 화장을 한다 민족과 문화가 매우 다양한 만큼 많은 장례식이 있지만 보통은 화장을 하며 갠지스 강에 유골을 뿌린다 중국의 역대 왕조와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에 들어 국가이데올로기가 유교로 바뀌면서 매장이 더 일반화되었다 유교문화에서는 사람의 신체는 그 부모가 물려준 자산이니 함부로 훼손해선 안 된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불교식 장례법인 화장을 금지하고 단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1474년 성종시대의 실록에는 예조에서 "요즈음 우민들이 혹은 요승들에게 유혹을 당하고, 혹은 장사(葬事) 비용을 아껴서 어버이의 시체를 불로 태우며, 심한 자는 자신의 질병을 가지고 죽은 자의 빌미 때문이라 하여 심지어는 무덤을 파내어 시체를 태워버리는 자까지 있으니, 풍속과 교화가 이렇게 퇴폐되었습니다 바라건대 엄격하게 금지시키게 하소서 "라고 아뢰자 국왕이 그대로 따랐다는 기록이 있다 기독교에서도 신체를 매우 중시한다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기독교 종파들은(특히 서방 교회는) 육체와 영혼의 극단적 이원론을 배격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기반한 영혼관을 고백하며, 인간의 신체는 페르소나(인격)를 이루는 한 요소임을 믿는다 '신체발부수지부모' 같은 이야기는 하지 않지만, 그와는 다른 방법으로 신체를 중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기독교에도 의외로 화장에 대한 거부감을 갖는 경우가 남아있다 이는 사실 그리스도교가 발원한 이스라엘 지방은 매장이 대세인 데 반해서, 다신교를 믿는 그리스-로마는 화장이 대세였고, 이렇기 때문에 화장은 "이교도의 장례법"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여기에 초기에는 영지주의 이단에서 '육체는 인간의 혼을 붙잡아두는 감옥이며, 죽음은 육체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식으로 해석을 하였기에, 이단의 장례 풍습을 거부하는 의미에서 터부시 하였다 또한 유럽에서 영지주의 등 이단을 박멸한 뒤 중세에 들어서도, 과거 교육수준이 낮았던 일반 신자들이 '시체가 훼손되면 부활 못 하는거 아닌가?'라고 인식하는 경우도 있고, 죽은 다음에 불에 탄다는 것이 지옥을 연상시키기에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또 하느님이 사람을 흙으로 빚어 만들었다는 믿음도 있다 보니, 마땅히 사람이 죽으면 땅으로 돌아가야하는 거 아니냐는 식의 인식도 있었다 이러한 거부감 때문에 한때 가톨릭에서는 화장을 금하기도 했고, 몇몇 유럽인들은 부활 신앙에 대한 정면 도전의 한 수단으로 주장하기도 하였다 결국 이러한 거부감이 그대로 이어져 중세 유럽에서는 잊힌 장례 풍습이 되었고 전염병이 돌아 어쩔 수 없이 시체를 소각하거나, 근세에 들어 종교재판 때 이단자를 화형하는 데나 쓰이는 것이라는 인식이 결정적으로 박혀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거부감을 느끼는 장례 방식이 되었다 오늘날 가톨릭에서는 “육신의 부활”에 대한 신앙과 화장이 양립할 수 없다고 보지는 않는다 즉, 부활 때에는 생전의 육신의 향방에 구애받지 않고 천주의 전능한 힘으로 말미암아 신령한 육신을 가지고 부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회는 여전히 매장을 권장하지만, 부활신앙을 부정하거나 훼손할 목적이 아니라는 조건하에 화장도 허용된다고 본다 이에 교회법 제1176조 제3항은 "교회는 죽은 이들의 몸을 땅에 묻는 경건한 관습을 보존하기를 간곡히 권장한다 그러나 화장을 금지하지 아니한다 다만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반대하는 이유들 때문에 선택하였으면 그러하지 아니하다 "라고 정하고 있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현대에 들어 가톨릭 신자들 사이에서는 화장을 터부시하던 문화가 빠르게 옅어졌고, 한국에서도 가톨릭 신자들의 화장에 대한 인식은 타 종교인과 별반 다르지 않게 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 현실적으로 매장에 따르는 어려움도 크고, 국가에 따라 법률상의 제약이 많은 경우도 있다는 것이 큰 역할을 했다 심지어 교회 묘지에 납골당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2016년 8월 15일 교황청 신앙교리성에서는 「죽은 이의 매장과 화장된 유골의 보존에 관한 훈령」을 발표하여, 매장과 화장에 관한 교회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요약하면 첫째, 교회는 죽은 이의 육신을 매장할 것을 권유하되, 둘째, 그리스도교 교리에 어긋나는 이유들로 화장을 선택한 것이 아니라면 화장을 금하지는 않으나, 셋째, 유골은 거룩한 장소에 보존되어야 하며 거주지에 보관하거나, 뿌리거나, 기념물 등에 넣어 보관하는 방식은 금지된다는 것이다 전문 보러가기 즉, 가톨릭교회에서는 사회·경제·위생상의 이유로 화장하는 경우라도 유골함을 성당이나 묘지가 아닌 자신의 집에 두거나, 강, 바다, 산 등에 뿌리는 산골(散骨) 행위, 고인의 유골을 가공하여 산 이를 위한 목걸이 등 액세서리로 만드는 행위 등은 교회의 가르침에 반한다 유골에 대한 존중을 해치거나 그리스도교 신앙과 양립할 수 없는 범신론, 자연주의, 허무주의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톨릭 신자인 위키러는 명심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