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돈돈하면 돈이오니? - 성공하는 놈 대운 드는 놈 부자 될 놈 - 홍두깨 만신 용한 무당 추천 용한 점 집 후기
#홍두깨만신 #부자타령 #돈타령 #용한점집추천 #유명한점집후기 #점잘보는곳 #대전점집 #신뢰가는무당 #신뢰가는점집 #점집 #신점 #재물운 #성주운 #연애운 무당은 뭔가요? 굿 값의 오해와 진실 홍두깨 만신 상담문의 : 010 7562 1366 상담시간 : 매일 10:00 - 22:00 [굿엔트]촬영문의 010 9768 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부자가 생각하는 부자는? "최소 109억 있어야" 세계의 부자 순위 동영상 공식적으로 1위인 제프 베조스 회장이후에 세 사람이 더 있다 현존 인물 중 가장 부유 하다고 추정되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돈으로 이미 라이벌을 이겼다, 미국 역사상 가장 부유 했던 인물인 존 데이비슨 록펠러 회장, 세계 역사상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 했다고 추정되는 만사 무사 다만 푸틴 대통령처럼 검은 돈의 규모를 추정한다면 중국의 경우 3다 파벌 + 현 시진핑 주석 측근세력들의 경우 해마다 한화 1000조가 넘는돈을 빼 돌렸다는 외신보도가 나오고 리비아나 이집트 예멘같은 국가의 독재자들 또한 최소 100조, 최대 700조씩 빼 돌렸다는 의혹이 있다 부자(富者)란, 돈과 같은 재산이 많은 사람을 말한다 돈이 곧 힘인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이상향 반대말은 가난, 혹은 빈자(貧者) 이게 극단적으로 가서 남에게 피해를 주든 혐오감을 주든, 심지어 자신에게 비 경제적인 손해를 끼치든 간에 돈에 환장해서 돈의 노예가 되면 자낳괴(자본 주의가 낳은 괴물)라고 한다 비슷한 뜻으로 돈 지랄이라고 한다 참고로 2019년 7월 현재 세계 5대 부자인 제프 베조스 회장, 빌 게이츠 회장,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 워렌 버핏 회장, 마크 저커버그 회장의 자산은 최대 한화 190조, 최소 93조로 이 다섯분의 자산 총합을 국가별 GDP와 비교하면 폴란드 GDP보다 높은 세계 22위권 수준이다 현재가치로 약 4080억 달러 (한화 약 491조) 공식적으로 인류 역사상 최고의 거부인 존 데이비슨 록펠러 회장이 했던 유명한 말이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재산이 3300억 달러에 달했던 그에게 한 기자가 "도대체 얼마만큼의 돈이 충분한 것입니까?"라고 묻자 록펠러는 "조금만 더요 "(Just a little more ) 라고 답했다 아래 내용은 재산이나 소득의 액수를 기준으로 부자의 기준을 정하는 내용이다 한국의 중산층의 재산을 가지고 가난한 국가에서 살면 그곳에서는 부자다 실질적으로 부자란 자산규모의 절대기준으로 분류한다기 보다는 그가 속한 사회에서 타인들에 비해 더 많은 재산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세계인과 교류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자신의 소속국가 이외의 사람들과도 비교해야 할 것이다 2014년 1월 옥스팜의 조사에 따르면, 당시의 전세계 최상위 85명과 세계 하위 절반 인구의 재산이 같다 #1 2016년에는 이를 넘어서서 전세계 최상위 8명의 재산이 세계 인구 절반에 해당하는 36억명의 재산과 같은 규모의 부를 소유한 걸로 나타났다 일반 국민의 정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 한국 사회에서 부자의 기준은 평균 25억 정도 2019년 기준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서울 중심지 역세권 아파트 2채 + 스포츠카 선에서 끝난다, 사실상 자기 소유 아파트 가진후 나머지 월세나 전세 내놓고 살고싶다는 배가부른 소리 아니면 자가+대출 80% 껴서 영세건물 하나 매입할 정도? 사실 금액에 관계없이, 자신보다 돈이 많은 사람이 부자로 보인다 위 조사에서 부자의 기준을 1억 원 이상으로 답한 사람 중에는 월소득 100만 원 이하(39 4%)의 비율이 높았고, 5억 원 이상은 월소득 300만~400만 원 (32 9%) 층에서, 10억 원 이상은 월소득 500만 원 이상 (31 4%) 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한길리서치센터의 2010년도 발표에 따르면, 30억 정도를 보유한 사람들만 모아서 조사한 데이터에서는 85억 이상 가지고 있어야 부자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을 보유한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의 설문조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국내 부자들이 생각하는 부자가 가져야 할 최소한의 자산규모는 평균 109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산 규모가 클수록 부자를 인식하는 눈높이도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자산 '30억 원 미만'은 최소 74억 원, '30~50억 원 미만'은 129억 원, '50~100억 원 미만'은 153억 원, '100억 원 이상'은 215억 원을 보유해야 부자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은행에서는 자가 부동산 1채를 제외한 금융자산이 10억을 넘으면 부자로 분류하는 곳이 많다 달러기준으로 백만장자라고 부른다 대한민국에는 1700만여 가구가 있기 때문에, 상위 1% 부자는 약 17만 가구이다 가족 수가 평균 3 81명이므로, 상위 1% 부자 가구에 속한 사람은 약 62만 명 정도이다 상위 1% 부자의 평균 경상소득은 2억4089만 원으로 일반 가구 평균 3770만 원보다 6 4배 많았다 소득 상위 1% 커트라인이 1억 6천만 원 정도 통계청의 2014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국내 상위 10%가구의 순자산 커트라인은 6억1천만 원이다 순자산 10억은 상위 4 1%의 커트라인이다 불로소득만으로 먹고 살 수 있는 사람을 부자라고 하기도 한다 즉, 평생 생활비 걱정 없이 자기가 하고 싶은 것들을 하며 살 수 있는 사람들 물론 가난한 사람이 보기에는 둘 다 부자다 금융자산이 10억 원이고 은행에 투자해 두었다면 매년 3천만 원이 불로소득으로 들어온다 이는 일반적인 국민의 근로소득보다도 많은 것이다 하지만 금리가 해마다 떨어지는 반면 물가는 해마다 올라서 불로소득만 가지고 먹고 살기에 필요한 원금의 양이 해마다 높아지고 있다 2000년대에는 10억 정도만 있으면 불로소득만으로 서민 수준의 생활이 가능해서 서민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이 최소 10억이었지만 2010년대에는 그동안의 금리하락과 물가상승의 영향으로 서민들이 생각하는 부자의 기준이 최소 20억 이상으로 껑충 뛰었다 실제로 2004년경 민주노동당에서 도입을 주장했던 부유세에서 부자의 기준으로 잡은 것은 부동산을 제외한 자산이 10억 이상인지의 여부였다 백만장자 millionaire: 100만 달러, 한화 약 12억 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사람 오랫동안 부의 대명사로 쓰였으나 물가 상승으로 그 수가 많아졌다 억만장자 billionaire: 10억 달러, 한화 약 1조 2,000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사람 사실 십억장자라고 하는 게 맞지만, 백만장자와 운율을 맞추기 위해 억지로 만든 말이다 백만장자보다 기준이 1000배나 높기 때문에 극소수만이 이 대열에 들어가고, 그래서 최근에 부자의 대명사로 많이 쓰인다 참고로 한화 1조는 8억 2,000만 달러라 억만장자에 한참 못 미친다 인터넷 등지에서 억만장자보다 한 끗발 더 부자를 '조만장자'라고 부를 때가 간혹 있지만 사전에 등록된 단어는 아니다 참고로 조만장자는 액면그대로 볼시 1조달러인데 2017-2018년 기준 매해 재산이 2배씩 증식되던 제프 베조스 회장이 인류최초로 조만장자 반열에 들어선다는 예측이 있었다 2019년도에는 전부인에게 400억 달러의 위자료를 주기는 했지만 그래도 작년보다 재산이 많다 언제나 눈길을 끄는 것은 역시 억만장자들이나, 출판물 등을 팔기 위한 책에서는 지나치게 멀게 느껴지는 억만장자보다는 10억~100억대 부자들의 사례들이 많이 소개된다 거부: 부자들 중에서 특히 큰 부자를 말한다 부호: 부자, 대부호: 재산이 매우 많고 세도가 있는 부자, 수부, 갑부: 첫째가는 부자 흔히 갑부를 부자와 동일하게 쓰는 경우가 많지만 정확히 말하면 갑부는 한 명이다 '대한민국의 갑부들'이라는 표현은 잘못된 것 서울 갑부는 서울 안에서 최고 부자, 부산 갑부는 부산에서 최고 부자다 어떤 집단을 지정하면 그곳에서의 갑부는 최고의 부자 한 명만을 말한다 세계 2위 부자보고 '세계 갑부 2위' 라고 표현하면 '세계 1등 부자 2위'라는 말처럼돼 버린다 부자를 나타내는 다양한 낱말이 있는데 그 중 아예 잘못 쓰고 있는 사례 만수르: 아랍에미리트의 왕자 사실 만수르보다 부유한 이들은 적지 않지만[12] 어째 부자의 대명사로 쓰이고 있다 상위 1%가 아니라 세계의 부자 40인 (상위 0 0000001%)으로 시선을 옮기면, 약 75%만이 고등교육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1위(빌 게이츠), 8위(래리 엘리슨), 에이케 바티스타[17], 37위(지나 라인하트)는 대학 중퇴다 그러나 이들이 다녔던 대학은 대체로 명문대, 그것도 자국에서 탑클래스에 들어가거나 세계에서 손꼽히는 명문대다 3위(아만시오 오르테가), 5위(잉바르 캄프라드), 13위(리카싱), 15위(릴리안 베탕쿠르), 20위(칼 알브레히트), 31위(종칭허우)는 집안 사정으로 인해 제 시기에 중등교육을 받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