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는 우리 땅인가?

대마도는 우리 땅인가?

대마도는 우리 땅인가? 옥창열 대마도가 우리 땅이란 주장을 하는 유튜브 방송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는 걸 보았습니다. 설마 일부러 반일감정을 부추기려고 그러는 건 아니겠지요. 어디서 우리에게 유리한 정보만 골라듣고서 애국심으로 그러는 것 같은데, 가뜩이나 어려운 한일관계를 더 악화시킬 것 같아요. 저가 공부한 결과로는, 대마도를 우리 땅이란 주장은 무리라는 확신이 들어서, 수필집에 실었던 제 글을 가지고 유튜브를 만들었습니다. * 독도모임 회장하는 친구 덕분에 그 모임의 고문이란 감투를 쓰고 있다. 그 바람에, 자연히 영토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일본에서 우경화 바람이 불면서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떠들자, 인터넷에서는 독도문제에서 나아가 대마도까지 우리 땅이라는 글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대마도와 가까운 부산과 마산에서는 대마도 영토회복을 위한 시민모임이 생겨났고, 괴산과 의정부 지방의회가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키는가 하면, 국회에 대마도 연구모임이 결성되는 등 경향 각지에서 대마도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나도 처음에 인터넷에 올라온 글을 읽고는 ‘대마도가 정말 우리 땅이구나!’하는 생각에 친구에게 제의하여 독도 카페 안에 대마도방을 만들기도 했다. 그런데 인터넷에 올라온 자료들은 한결같이 우리 입장에서 유리한 자료들만 모아놓은 것이어서 어쩐지 마음에 걸렸다. 일본 측 주장이나 중립적인 제3국의 시각이 궁금했다. 그래서 한일 양국 학자들이 쓴 역사서를 보이는대로 구입하여 읽고, 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각자의 주장과 논리를 비교 검토했다. 국사편찬위원회의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에 들어가 대마도 관련기사를 찾아보고, 일본에서 외교관으로 오래 근무한 친구의 의견도 들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공부를 하면 할수록 대마도가 일본 땅이란 사실이 확연해져 놀랐다. 나는 대마도가 우리 땅이란 증거를 찾으려고 한 것인데 그 반대의 결과가 되어버렸다. 역사를 제대로 연구한 정통 사학자들은 가만히 있는데, 대개 어중간히 연구한 재야 사학자와 극우파가 무작정 목소리를 높이는 현상도 감지되었다. 아전인수 격으로 몇 가지 우리에게 유리한 증거는 신주단지 모시듯하고, 수많은 불리한 증거에는 눈을 감아서야 국제사회를 설득할 수 있겠는가! 생각이 정리되자, 우선 독도모임 회장하는 친구에게 “조선왕조실록에 ‘일본국 대마도’란 표현이 80여 회나 나온다.”고 하면서 관련자료를 보여주었는데, 짐짓 놀라면서도 회장이란 직함 때문인지 “우리에게 유리한 증거도 있다.”면서 몹시 난감해 했다. 작년에 경기도의원에 나갔다가 떨어진 후 한일 관계사를 더 깊이 연구한다며 모 대학 박사과정에 들어가 공부를 하는 친구인데, 한 순간에 신념을 무너뜨리는 말을 하자니 쉽지 않았다. 그래서 친구의 입장을 생각해서 독도 카페에서는 내 의견을 밝히지 않고 가만히 있기로 했다. 그런데 최근 어느 문단 밴드에 부쩍 대마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자료가 많이 올라와서 가뜩이나 안 좋은 한일관계가 더욱 악화될 것만 같아 댓글로 내 의견을 밝혔더니, 친일파 같다는 둥 국가관이 의심스럽다는 둥 인신공격적인 반응이 나와 당황스러웠다. 알고 보니, 그곳에 대마도 모임 회장이 있었다. 이왕 말을 꺼낸 걸 피하기도 그래서 그분에게 조목조목 설명을 하였는데, 그분은 자기 주장만 계속할 뿐 들으려고 하지 않았다. 이야기를 해봤자 입만 아픈 상황이라 포기하고 있었는데, 이번에는 문단 카페에 비슷한 자료들이 계속하여 올라왔다. 또 친일파 소리를 들을까봐 자제하고 있었는데, 주위에서 내 의견을 물어온 분도 계시고 하여 이참에 대마도 영유권 문제를 정리해 보기로 하였다. 이혼소송처럼 첨예한 다툼이 있는 재판의 경우, 원고와 피고의 주장이 완전히 다른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고 한다. 어느 일방의 주장만 들어서는 진위를 분별하기가 어렵다는 이야기다. 대마도 문제가 그러한 경우에 해당한다. 우리가 수많은 반대증거에 눈을 감고, 과장되거나 왜곡된 근거를 가지고 영토문제에 접근한다면 일본더러 왜 제국주의를 찬양하고 역사왜곡을 하느냐고 비난할 수 있겠는가. 그런 식이면 국제사회의 지지를 이끌어내기는 커녕 웃음거리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