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분기 성장 0.4%...20년 만에 최저 '물가' / YTN
더 나은 뉴스 콘텐츠 제공을 위한 일환으로 영상 미리보기 이미지(썸네일) 개선을 위한 설문을 진행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들려주세요. 감사합니다. ※ 썸네일 설문 참여하기 https://feedback.ytn.co.kr/?v=2019120... [앵커] 3분기 국내 성장률이 0.4%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속보치와 같은 수치지만 여전히 0%대입니다. 여기에 우리 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이 외환위기 이후 20년 만에 가장 낮아 경기 침체 속에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최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국내 기업 3곳 가운데 2곳은 다가오는 연말에 성과급을 줄 계획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올해 들어 성장세가 사실상 제자리걸음 한데다가 수익성은 크게 나빠졌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기업들이 보릿고개를 겪는 사이 3분기 우리 경제는 0.4% 성장에 그쳤습니다. 특히 건설투자가 안 좋았고 설비투자와 민간소비, 정부 소비도 성장세가 둔화했습니다.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인 2% 달성을 위해선 4분기에 1%는 성장해야 하는 데 현재로썬 쉽지 않은 분위기입니다. [이미선 /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 2016년 이후 현재까지 분기 평균 성장률이 0.6~0.7% 정도였거든요. 0.9% 이상 나오는 것은 상당히 경기가 좋을 때 나올 수 있는 숫자라서….] 여기에 경제 전반의 물가 수준을 가늠하는 지표인 GDP 디플레이터는 20년 만에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습니다.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9년 2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인 -1.6%를 기록한 겁니다. 4분기 연속 감소한 것도 사상 최초입니다. [신승철 /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계정부장 : 반도체, 디스플레이 또는 철강, 석유, 화학 이런 쪽에 수출품 가격 하락이 굉장히 GDP 디플레이터의 마이너스 지속, 확대를 유발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런 수출 물가 하락을 국내 물가와 연결해 디플레이션 징후로 보는 것은 무리한 분석이라고 선을 그었지만, 기업의 수출 실적 악화가 결국 국내 투자와 고용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저성장과 저물가 상황이 이어지면서 우리 경제 전반의 성장 동력이 떨어지는 건 아닌지, 디플레이션 우려는 한층 더 커지고 있습니다. YTN 최아영[[email protected]]입니다.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2_20191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