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 제동 거리 5배 이상↑…“감속 운행·차간 거리 유지” / KBS  2023.01.16.

빙판 제동 거리 5배 이상↑…“감속 운행·차간 거리 유지” / KBS 2023.01.16.

빙판길 사고는 대부분 차량의 제동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납니다. 얼어붙은 도로가 얼마나 위험한지, 또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계현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고속 도로를 달리던 차량이 멈춰서지 못합니다. 그대로 미끄러지며, 앞선 차량을 들이받기도 합니다. 얼어붙은 도로에서 제동이 걸리지 않아 일어난 사고들입니다. [운전자 : "몇 번 미끄러져 가지고, 빙판길만 보면 좀 조마조마 합니다. (브레이크가) 30-40% 정도는 안 듣는 거 같아요. 밀린다 그러죠 쭈욱 앞으로 좀 밀리는 기분이."] 빙판길에서는 주의를 기울여 차를 세우더라도 제동 거리는 늘어날 수 밖에 없습니다. 시속 60km로 운전하다가 멈춰설 때 마른 도로에선 10미터였던 제동 거리는 살얼음이 낀 도로에서 50미터까지 5배가 늘어납니다. 급하게 브레이크를 밟는 경우엔 차가 균형을 잃을 수 있어 더 위험합니다. 그만큼 대헝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은 더 커집니다. 최근 5년 사이, 얼어붙은 길에서 일어난 교통사고 가운데 사망사고 비율은 전체 교통사고보다 1.5배 더 높았습니다. 도로 위 녹은 눈이나 비가 갑자기 얼어붙게 되면 무엇보다 속도를 규정 속도의 절반 이하로 줄이고, 차간 거리는 두 배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굽은 도로에서는 속도를 더 줄이는 게 좋습니다. 브레이크는 천천히 여러번 밟아야하고, 엔진 브레이크 활용과 바퀴에 체인을 감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권지원/한국교통안전공단 교수 : "급제동 하게되면 차가 미끄러질 수 있어서 서서히 해야 합니다. 빙판길을 뛰다가 멈출 때 갑자기 정지하는 것 보다, 서서히 속도를 줄이는 것과 같은 원리죠."] 특히 매연과 함께 얼어붙은 살얼음판은 교량이나 터널 등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날 때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KBS 뉴스 계현우입니다. 촬영기자:김상민/영상편집:최찬종/그래픽:노경일/화면제공:한국교통안전공단 ▣ KBS 기사 원문보기 : http://news.kbs.co.kr/news/view.do?nc...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이메일 : [email protected] #빙판길 #블랙아이스 #제동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