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뉴스] "이벤트 위주 종교개혁 500주년 아쉬워...말씀대로 실천하는 삶이 개혁"

[CBS뉴스] "이벤트 위주 종교개혁 500주년 아쉬워...말씀대로 실천하는 삶이 개혁"

종교개혁 500주년을 계기로 한국교회가 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하지만 종교개혁 500주년기념일인 지난 10월 31일은 많은 아쉬움을 남기고 지나갔다 앞으로 한국교회의 과제에 대해, 한국복음주의운동의 원로인 홍정길 목사에게 들어본다 ■ 방송 : CBS뉴스 파워인터뷰(CBS TV, 11월 1일(수) 밤 9시 50분) ■ 진행 : 권혁률 선임기자 ■ 대담 : 홍정길 목사 (밀알복지재단 이사장) 종교개혁 500주년, 의미 없이 흘러가 ◇권혁률- 목사님, 반갑습니다 ◆홍정길- 네, 반갑습니다 오랜만에 뵙습니다 ◇권혁률- 종교개혁 5백주년 그동안 여러 가지 논의와 행사가 많았는데, 벌써 기념일이 지나갔습니다 목사님께서는 종교개혁 5백주년을 어떤 생각으로 맞이하셨습니까? ◆홍정길- 근심이 참 많았습니다 마음에 깊은 응어리짐 속에서 개신교 5백주년을 어떻게 맞이하나 하고 마음에 침울함이 있었는데 이제 지나놓고 보니까 그저 흘러가는 세월과 함께 의미 없이 흘러간 종교개혁 5백주년 기념 해가 아니었나 그렇게 생각됩니다 ◇권혁률- 행사가 참 많았는데, 그런 행사들이 별다른 의미를 남기지 못했다 그렇게 생각하시는 겁니까? ◆홍정길- 네, 그렇죠 그냥 이벤트로 참 거기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세미나 하고, 이제까지 안 가본 그 종교개혁 발원지나 역사적인 의미 있는 곳을 목사님들이 돌아보는 일을 열심히 하셨습니다 이 두 개가 전부인 해가 아니었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권혁률- 그럼 목사님께서는 이 종교개혁 5백주년, 어떻게 맞이하는 것이 좋았겠다 생각을 하시나요? 자아성찰 노력 없이 행사위주 진행 ◆홍정길- 종교개혁은 가장 중요한 그 슬로건이 ‘오직 말씀’이었습니다 그러면 오직 말씀이라는 뜻에 집중을 해서 우리를 돌아보는 것, 또 그 말씀에 대한 태도가 달라져야 되는 것, 이것이 강조되어져야 되는데 세미나마다 일종의 담론이고, 그리고 자아성찰을 말씀으로 해야 되지 우리가 말씀을 연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말씀이 나를 보도록 만들어야 되는데, 그런 노력이 자아성찰 노력이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개신교는 정말로 소중한 것을 갖고 있습니다 ‘오직 말씀’ 이것보다 더 귀한 것이 없지요 그런데 말씀이라고 하면요 세 가지 형태로 드러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말씀이라는 것은 대응실체가 없으면요, 소리입니다 여기 탁자가 있는데, 탁자라는 우리 발음이 있고, 탁자라는 실물이 없으면 그 탁자라는 것은 소리입니다 그래서 아마 기독교 본질을 말할 적에 소리 나는 구리하고 울리는 꽹과리, 기독교 본질인 사랑이 없을 때에 그렇다고 고린도전서 13장은 말하고 있죠 두 번째는 말씀이 있는데 그 말씀하고 우리 앞에 보여지는 것이 다른 것은 거짓입니다 세 번째는 말씀이 있는데 만지고 볼 수 없는 것이 추상성입니다 그런데 우리 그리스도인들의 삶과 교회 속에 실제가 있는가 예를 들면, ‘거룩’이라는 단어는 참 많습니다 제가 카리스매틱한 형제들에게 아쉽게 생각하는 것은 성령이라는 말을 그렇게 말씀을 많이 하시는데, 거기 거룩이 있는가? 성령 하나님은 거룩하신 하나님이시거든요 그것뿐만 아니라 경건을 말하고 있는 목회자들에게 거룩이 있는가 또 섬김이라는 단어하고 겸손이라는 단어는 로마시대에는 사실 노예들에게 사용되는 단어들이었습니다 아가페라는 단어와 더불어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실 적에 거듭난 단어다’ 이렇게 말하는 분도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에게 섬김이 있는가? 교회에서도 목사님들이 안 섬기니까 장로님들은 목사 다음으로 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든지, 안수집사만 되면 더 높은 섬김인 장로로 사역을 하기 위해서 교만부터 배우는 것 같아요 실제가 있는가 말이에요 교회 안에 정직이 있는가? 크리스천들에게 진실이라는 증거가 있는가? 그러니까 우리가 갖는 것은 전부 소리고, 기독교 5백년 개신교가 내려오면서 담론의 종교로 변질이 됐어요 이게 뭐, ‘아브라함 카이포가 무슨 말이었다’, ‘비류 옷 프리가 무슨 말이었다’ 계속 담론이에요 그 담론이 있으면, 그 담론의 실체가 있느냔 말이에요 그러니까 열심히 따라갔던 사람들이 말은 멋있는데, 실제가 없으니까 누가 제일 먼저 아냐면 교회 중직자 자녀들이 가장 먼저 압니다 실체가 없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주님에게서부터 부모들 때문에 떠나가는지 모릅니다 교회에서 실체가 없기 때문에 벌거벗은 임금님이라고 그러고,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개신교 5백주년에도 한 번도 그런 얘기를 들어본 적도 논의해본적도 없이 이전 신학자들, 또 루터, 칼빈으로, ‘그 온전한 사람이 무슨 말 했는가’로 돌아가 버리는 퇴보를 했습니다 실제로 칼빈이 온전한 사람이 아닙니다 그 이론이 완전하지 않습니다 그러면 이 시대에 칼빈이 그 시대에 그 생각 했다면, 이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될까 하는 고민이 없어요 그래서 개신교 5백주년 그냥 기념은 기념식으로 끝나지 않았는가 그렇게 생각돼서 마음에 좀 비감한 생각이 듭니다 ◇권혁률- 아주 중요한 지적을 하셨는데요 교회 안에 좋은 말들은 많은데 실제가 없고, 5백주년이 그냥 기념식으로 끝났다 정말 뼈아픈 지적이신 것 같고, 그럼 이제부터라도 한국교회가 어디에 관심을 가지고 좀 노력을 해야겠다고 생각을 하십니까? ◆홍정길- 그래서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붙잡은 이 말씀이 실제로 우리 삶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야 되는가 믿음은 바라는 것의 실상이요, 보지 못하는 것의 증거라고 했어요 그리고 그 다음에 말씀으로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셨다고 3절에 그렇게 나옵니다 히브리서 11장인 믿음 장에요 이 말은 우리가 믿음을 통해서 말씀의 실상을 보여줘야 되고, 믿음으로 또 이제까지 못 만져봤던 것의 증거를 만들어내는 것이 믿음이에요, 말씀의 실질적인 증거죠 이것은 참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가령 ‘우리가 오직 구원을 믿음으로 얻지, 행위로 얻지 않는다’는 이것하고, ‘행동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는 이 믿음’이 동시에 100% 다 있어야 되죠 이것 어느 것 할 수 있는 것 아니거든요 평면논리에는 이게 안 됩니다 그것 가지고 지금 장로교하고 감리교가 죽어라고 싸우는데, 서양 역사에서는 먼저 하나님의 절대 주권이 강조되고, 그래서 이제 문제가 되니까 사람이 책임이 강조된 것이 그 다음에 2백년 이후에 존 웨슬리거든요 그렇게 역사 단계로 봐야 되는데, 우리는 이게 하나가 돼서 들어왔어요 그래서 대립개념으로 되어졌는데, 계속 발전해야 것에 대한 논의가 특별히 한국교회에 없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해야 될 것은 정말 단어 하나, 하나, 우리가 그대로 살고 있는가? 그래서 실제를 찾아내야 돼요 성리학처럼 떠들다가 또 우리 개신교도 이 땅에서 없어질 종교가 되어지면 안 됩니다 거짓말 하지 말고 본을 보여야 ◇권혁률- 네, 중요한 지적 해주셨고요 그런 의미에서 한국교회가 좀 바꿔야 될 구체적인 내용을 지적해주신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