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MRO 공공투자 '불가'… 시민사회 '강력 반발'
[Btv 인천뉴스 이형구 기자] [기사내용] 박인애 앵커) 우리나라 항공운송 규모는 세계 6위로 성장했지만, 항공기 정비 물량의 절반은 해외에 빼앗기고 있습니다. 때문에 인천은 MRO 육성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국토교통부는 정부는 물론 인천공항공사의 직접 투자도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시민사회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형구 기잡니다. 리포트)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연간 국제여객은 7천만 명, 세계 5위 수준입니다. 하루 1천1백 편의 비행기가 운행합니다. 하지만 지난 5년간 항공기 정비 미흡으로 인한 결항과 지연 등 비정상 운항은 5천여 건. 특히 항공기를 고치려 해도 정비할 곳이 없어 국내 정비 물량의 46%는 해외로 빠져나갑니다. 때문에 인천 MRO 육성은 숙원 사업이 된 상황. 국회 예결위에서 관련 질의가 이어졌는데 정부는 지원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부의 직접 투자는 물론 인천공항공사의 투자에도 불가 입장을 밝혔습니다. [배준영 / 국회의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MRO 산업에 투자 하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김현미 / 국토교통부 장관] "인천공항공사가 직접 투자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저희는 아직은 적절하지 않지 않나 생각합니다. 민간의 영역에서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도와주는 정도가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4년 전 정부 공모에서 경남 사천이 선정된 만큼 이곳을 지원하는 게 먼저라는 판단입니다. [배준영 / 국회의원] "장관님 그럼 인천은 정부에서 지원도 안 해주고, 인천공항공사가 투자해서 해도 안 된다고 하면…" [김현미 / 국토교통부 장관] "인천이 훨씬 경쟁력이 있어서요. 사천하고 인천하고 지금 MRO 산업의 경쟁력에 있어서는 비교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습니다." 시민사회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국제 경쟁력을 키우고 국부 유출도 막기 위해선 ‘인천공항에 항공MRO 클러스터’ 조성이 시급한데 정치권의 반대로 국제경쟁력이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정비가 필요한 민간 항공기를 ‘지역 균형발전’이란 명목으로 경남 사천까지 끌고 가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인천광역시 총연합회와 인천경실련은 이런 내용의 공동 성명을 내고 ‘범정부 차원의 항공MRO 사업을 육성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송원 / 인천경실련 사무처장] "김현미 장관의 인천공항 MRO 사업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서 국민 안전 보장은 물론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 그리고 지역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문제가 다 어그러지게 됐습니다. 그래서 납득할만한 해명이 시급합니다." 인천시민사회는 다음 주 중에 정치권과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에 인천 MRO 육성 지원을 주문할 예정입니다. Btv뉴스 이형구입니다. 영상취재/편집 : 정 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