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싯돌로 불피우기 / 탄화면 / 정글의법칙 / 렛츠고시간탐험대 / 원시생존 / 부시 / 부싯돌 / 부시쇠/ 부싯돌과 부시

부싯돌로 불피우기 / 탄화면 / 정글의법칙 / 렛츠고시간탐험대 / 원시생존 / 부시 / 부싯돌 / 부시쇠/ 부싯돌과 부시

예전 선조들은 부싯돌과 부시쇠 부시깃으로 불을 피웟다고 합니다 생존기술로도 배워두면 도움이 될 부싯돌로 불붙이기 부싯돌로 불피우기 / 탄화면 / 정글의법칙 / 렛츠고시간탐험대 / 원시생존 / 부시 / 부싯돌 / 부시쇠 / 부싯돌과 부시 철기 시대부터 사용해온 전통적인 점화 도구. '플린트-앤-스틸'에서 부싯돌(플린트)과 짝을 이루는 철편을 파이어스틸(Firesteel), 또는 파이어스트라이커(Fire Striker)라고 한다. 우리말로 이 철편을 '부시'라고 부른다. 부싯돌이나 그 외의 단단한 돌멩이로 철편의 날을 내려치면, 부딪히면서 살짝 긁혀나간 미세한 철의 분말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 열이 발생하면서 불똥이 일어난다. 이 불똥을 솜이나 탄화시킨 면, 숯, 아마두 버섯[2] 같은 불이 잘 붙는 부싯깃(Tinder)에 튕겨서 점화하는 구조. C자형이나 D자형, 말굽형 부시가 흔하지만, 없는 경우 탄소강 나이프의 칼등 따위를 써도 된다. 이름이 부싯'돌'이라서 그런지 흔한 오해가 돌멩이 두개를 부딪혀서 불똥을 만든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제아무리 손에 꼭 맞는 돌멩이를 찾았다고 해도 평범한 돌끼리 부딪혀서는 죽었다 깨어나도 불을 붙일 수 없다. 철과 석영을 부딪혀서 불씨를 만드는게 부싯돌이지 절대 평범한 돌멩이끼리 맞부딪히는게 아니다. 돌끼리 부딪쳐서 불씨를 만드는게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그 경우는 우연히 한쪽돌이 철광석이고 다른 쪽이 석영 이상의 경도를 지닌 돌이어야 하는데, 그럴 확률이 얼마나 낮을지는 말할 필요도 없다. 에드 스태포드 같은 생존전문가나 제대로 된 생존물에서 도구 없이 불 붙일때 돌멩이 줍는게 아니라 나무를 찾는 건 이 때문이다. 역시 흔한 오해로 부싯돌의 작동 원리는 마찰열이 아니다. 인간이 돌멩이를 순간적으로 부딪치는 정도로는 발화점까지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다. 부싯돌의 원리는 철을 부싯돌에 부딪히면 금속 부스러기가 날리면서 순간적으로 공기 접촉면적이 커지면서 산화과정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서 산화열이 발생해 불똥이 튀는 것이다. 물리가 아니라 화학의 영역. 핫팩이 부싯돌과 근본적으로 같은 원리이다. 참고로 몇 시간씩 나무를 비벼서 불지피는 경우에는 마찰열의 원리로 불 피우는게 맞다. 부싯돌의 날을 잘 세워서 불똥을 잘 만들어내고, 그 불똥을 받아 점화하기 위한 잘 타는 부싯깃(불쏘시개)을 준비하는 것이 요령. 이 때문에 부싯돌 점화 방식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알토이드 캔 등에 부싯깃과 파이어 스트라이커, 플린트를 준비해 다닌다. 이렇게 부싯돌과 부시, 부싯깃 등을 한곳에 모아서 담아놓는 통을 부싯깃통(Tinderbox)라고 부른다. 불붙이기 강좌. 옛날 일본에서는 집을 떠나는 사람의 무사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집의 불단 앞에서 떠나는 사람을 향해 부싯돌을 쳐서 정화나 액막이를 하는 풍습이 있었다. 화류계 등에서 손님 들에게 또는 불단에게 바치는 제물이나 장인집단 등에서 축복이나 정화, 액막음의 의미로 하기도 한다. 이것을 키리비(切り火 / 鑽火)라고 부르는데, 신령 앞에서 경건하고 깨끗하게 피운 새로운 불로 악운을 정화한다는 의미이다. 일본 신사에서는 부시와 부싯돌로 불을 피우는 것보다 더 오래된 방법, 즉 나무와 나무막대를 비벼서 나온 불똥을 불쏘시개에 옮겨 새로 불을 피우는 것을 종교적 의례로 여전히 거행하는데, 이 또한 키리비(鑽火)라고 부른다. 전용도구까지 따로 있을 정도. #부싯돌 #플린트 #부시쇠 #탄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