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지소미아 정상화 속 김정은 핵위협…국방차관에게 듣는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뉴스포커스] 지소미아 정상화 속 김정은 핵위협…국방차관에게 듣는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뉴스포커스] 지소미아 정상화 속 김정은 핵위협…국방차관에게 듣는다 [출연 : 신범철 국방부 차관] [앵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 이른바 '핵반격 가상 종합전술훈련'을 실시했다고 오늘(20일) 밝히기도 했는데요.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데 이어 핵을 "적에게 공격을 가할 수 있는 수단"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경고 메시지도 나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일은 북핵 위협에 대비해 안보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죠.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된 한반도 정세에 대해서 신범철 국방부 차관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오십시요. 아무래도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해 우리 군은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궁금한데요. 오늘(20일) 북한이 내놓은 '핵타격 모의 훈련' 메시지, 어떻게 보십니까? [신범철 차관] 네, 저는 계산된 과잉행동이다, 이렇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우리에게 있어서는 자신들의 핵능력을 과시하면서 대한민국을 위협하려고 하는 것이고요. 그럼과 동시에 사실 내부 정치적으로는 경제적으로 성과를 내지 못하는 김정은 정권이 그나마 핵무력이라도 건설했다는 그런 식의 선전 메시지를 내고 있는 거죠. 다만 국방 차원에서 주시해야 될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 능력은 날 고도화되고 있다, 이러한 북한의 핵능력을 우리가 억제할 수 있게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가 하는 부분이 있는 거고, 그것은 우리가 독자적인 국방력 강화 그리고 한미동맹관계에 있어서는 확장억제력 강화, 그리고 이것을 실질적으로 우리가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게 훈련과 연습을 적극적으로 이행하는 그러한 세 가지 방향에서 지금 정책을 전개 중이다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앵커] 북한의 행보를 보면 7차 핵실험 가능성도 엿보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예상을 하고 계시는지요? [신범철 차관] 사실 7차 핵실험은 과거 제가 아마 두 달 전에 여기 나와서 비슷한 말씀을 드렸는데요. 과거 수준의 핵실험을 한다면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거죠. 다만 북한이 그런 핵실험보다는 다음 7차 핵실험을 한다면 폭발력을 아주 극대화할 수 있는 수소 폭탄 핵실험이라든가 또는 지금 북한이 시험하고 있는 단거리 미사일 등에 장착할 수 있는 전술핵 실험을 한다면 기술적인 준비가 되어있어야 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그 시기를 예단하는 게 중요하지는 않다고 봅니다. 다만 최근에 풍계리 활동을 보면 계속해서 조금씩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거든요. 핵실험 준비는 꾸준히 하고 있다고 보는데, 언제 할 것인지 예단한다기보다는 북한의 핵실험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뤄지고 거기에 대한 군사적 대비태세를 우리가 갖춰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정책적 중점을 모으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앵커] 북한이 화성-17형 ICBM을 발사했습니다. 그 전에도 많은 도발들을 했지만요, ICBM에 한정해 이야기를 해보자면 결과적으로 실전배치를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것도 조금 생각해볼 만하고, 고체연료와 관련해서도 가능한 수준에 도달했을까? 그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신범철 차관] 단거리 미사일은 고체연료가 어느정도 포함돼서 개발이 거의 완료된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ICBM 고체연료는 사실은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의 고체연료 기술은 아직 북한이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부분이 있고, 물론 북한은 그 부분,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는 보고 있고, 그 시기가 언제일지는 예단할 수 없습니다. [앵커] ICBM 정상각도 발사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잖아요. 그 부분도 저희가 어느정도 예상하고 대비하고 있습니까? [신범철 차관] ICBM 정상각도의 경우에는 북한이 국제사회를 위협하려고 할 때 언제든지 할 수 있는 거죠. 다만 그것이 말씀드린 대로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고체냐 액체냐 하는 부분은 고체는 아직까지 거기까지 오지 못했고 액체 같은 경우에는 그러한 발사가 있을 때 우리가 그것을 충분히 응징할 수 있는 국제사회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