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동살 있는 사람 금전 재물 모으는 방법 - 강남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인동살 있는 사람 금전 재물 모으는 방법 - 강남점집 용한무당 점집추천 점집후기 연이궁 꽃대신 010-6625-2677

#인동살 #있는 #사람 #금전 #재물 #모으는 #방법 #강남점집 #강남점집추천 #서울시점집 #서울시점집추천 #점집추천 #점집후기 #점잘보는집 #살풀이굿 #재수굿 #진오귀굿 #연이궁 #꽃대신 #Shorts 연이궁 꽃대신 상담문의 : 010-6625-2677 상담위치 : 서울시 강남 이재명 대통령 될 수 있나 - 연이궁 꽃대신의 확실한 예언 대운이 들어올때 징조 - 운이 바뀔때 - 대운이란 상문 부정풀이 상문살 직접 푸는 초강력 셀프 비방법 앞날이 창창한 자녀를 위하여 명다리 올리는 특별한 이유 안 좋은 터만 볼 줄 알아도 새는 금전 재물을 막을 수 있다 평생의 연인을 알아보는법 - 혼인 여탐굿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인동살(忍冬殺)이란 참을인 겨울동 죽일살자로 엄동설한 추운 한 겨울을 살기 위하여 이를 악물고 참고 견뎌내야만 하는 신살이란 뜻으로 나쁜 흉살에 속한다 - 생일의 끝자리가 음력으로 1, 3, 8일에 태어난 사람 (생일이 음력 1 3 8 11, 13, 18, 21, 23, 28일인 사람)으로 조상의 업보가 후손에게 나쁜 기운으로 뻗친 결과로써 부모님과 본인 자녀 모두에게 영향을 받는데 아래와 같은 여러가지 좋지않은 현상이 일어난다 (생일 해당되는 사람이라고 모두 인동살의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님) 인동살이 있는 사람에게 일어나기 쉬운 현상 1 사람과의 인연이 박하여 좋은 배우자를 만나기 어렵고 겨우 만나도 결혼이 성사되기 어렵다 2 인덕이 없어 주변으로부터 배신을 자주 당하고 대인관계가 원만하지 못한다 3 인간으로 인하여 구설시비와 송사등으로 온갖 풍파를 겪는다 4 금전운이 없어 남에게 돈을 빌려줘도 받지못하고 재물에 대한 손실이 잘 일어난다 5 태풍, 홍수, 화재, 교통사고등 재해나 횡액을 당하기 쉽다 6 부부 두사람이 같이 인동살이 있으면 기형아나 미숙아, 저능아,저폐증아등을 출산할 가능성이 많다 9 자녀가 잘 아프고 취업과 결혼성사가 잘 이뤄지지않는다 인동살 방지책, 인동살 푸는 방법 1 모든일에 조심하고 과욕을 부리지않는다 2 조상님의 업장을 녹이기 위하여 지장기도를 많이 한다 3 음력생일의 끝자리가 9자인 사람과 부부의 인연을 맺는다 4 신살소멸 살풀이를 한다 5 인동살소멸부의 부적을 지닌다 살(煞) 사람이나 생물·물건 등을 해치는 독하고 모진 기운을 가리키는 종교용어 한국의 무(巫)에서 살은 하위신령인 잡귀잡신(雜鬼雜神)의 일종으로 형성되기 직전의 어떤 흉악한 기운으로 이해된다 19세기말 난곡(蘭谷)이 펴낸 『무당내력(巫堂來歷)』에 오방신장(五方神將)이 일체의 사귀(私鬼)와 잡신(雜神)과 제반 살격(殺格)을 제거해 준다고 하는 서술이 있는 바, 조선조 말에 이미 살을 하나의 격(格)으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인다 살의 유래는 아직 미상이다 중국의 음운서인 『집운(集韻)』에는 살을 殺(살)이라 하고 殺(살)은 또 煞(살)이라 한다 하였다 두 살이 원래 상통함을 일러준다 그러면서 살(煞)은 중국의 민간신앙에서 흉신(凶神)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그에 따라 살신(煞神)이니 흉신악살(凶神惡煞) 등의 개념이 형성·통용되어 온다 한편 살(殺)은 풍수지리에 수용되어 흉악한 방향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살에 관한 중국의 이런 관념들은 풍수지리와 도교가 한국에 도입되면서 적절히 소화·신앙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대개 고려 초의 일로 추정된다 그러나 흉신으로서의 살의 개념은 한국의 무(巫)에 직접 받아들여지지 않고 다만 흉악한 기운 정도로 완화되어 수용되었던 것이다 한국에 수용된 살 개념은 조선조를 거치면서 크게 세 영역에서 나름대로 전개되어 오늘에 이른다 무(巫)에서의 살(煞) 개념, 풍수지리의 살(殺) 개념, 그리고 민간의 일반적인 살(煞) 개념이 그것이다 무에서 살은 사람·생물·물건 등을 해치는 잡귀잡신적 흉악한 기운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다시 굿에서의 주당살(周堂煞)과 치성에서의 상문살(喪門煞) 및 살풀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당살은 굿의 첫머리에 놀아지는 주당물림에서 경계되는 주당의 흉한 기운이다 주당물림은 굿상을 다 차리고 홍철릭을 문안에 걸어놓고 집안의 문을 다 열어놓고 제가 집안의 식구들이 다 나간 상태에서 장구와 제금만을 쳐서는 동네의 모든 신들이 그 소리를 듣고 굿판으로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신령들이 그리하여 들어오는 집안의 주요 장소는 우물·대문·행랑·변소·마굿간·마루·굿하는 장소·방 등 여덟 곳인데, 사람이 이때 그런 장소에 있으면 주당살을 맞는다고 한다 치성에는 살과 관련된 것으로 상문풀이와 살풀이 두 가지가 있다 사람이 상가(喪家)에 다녀와서 몸이 불편하거나 아플 때, 무에서는 상문살을 맞았다고 본다 상문살은 사람이 죽은 방위로부터 퍼진다는 흉악한 기운이다 이러한 상문살을 제거하기 위하여 무당을 불러 상문풀이를 행한다 옛날에는 장님 독경자(讀經者)인 판수에게 가서 상문풀이를 벌이기도 하였다 살풀이는 태어날 때부터 또는 대인관계에 살이 끼어 있다고 판명될 때 무당에 의해 베풀어지는 치성이다 풍수지리에 사용되는 살에는 삼백여 종이 있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무기살(戊己殺)·황천살(黃泉殺)·팔요살(八曜殺)을 들 수 있다 무기살은 나경(羅經)의 제5층인 천산 72룡과 제7층인 투지육십룡(透志六十龍)으로 길흉을 보는 것이다 무기살을 보기 위해서는 우선 나경을 과협(過峽)에서 정북(正北)의 방위에 맞추어 놓는다 과협은 혈(穴)이 맺은 입수(入首)의 바로 뒤에 보이는 움푹 파인 장소를 말하는데, 이곳을 결인처(結咽處) 또는 속기맥(束氣脈)이라 한다 과협에서 나경으로 산 위를 보면 용(龍)이 어느 방향으로 왔는지 알 수 있다 용이 무자순(戊子旬)으로 들어오면 무기살이라 대흉(大凶)하여 그곳을 묘로 쓸 수 없다 황천살은 좌산(坐山)으로 물의 거취를 본다 산이 앉아 있는 방향으로 물이 오거나 그 방향으로 물이 흘러가면 불길한 것이다 팔요살은 사로황천살(四路黃泉殺)이라고도 하는데, 그것은 좌향으로 물이 흐르는 방향을 보아 길흉을 잡는다 이를 위해 나경의 제2층을 보아야 한다 예컨대 정경(丁經) 방향에서 물이 곤방(坤方) 즉 남서쪽으로 흐르면 불길하다는 뜻으로 여타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은 살에 해당되면 대흉하다 이것을 범하면 백일(百日) 이내에 큰 흉액이 닥쳐 집안의 똑똑한 자로부터 차례로 꺾인다고 한다 무와 풍수지리의 살 개념이 민간에 유포되면서 살은 또한 민간신앙적인 개념으로 통용되어 온다 ‘살이 가다’, ‘살이 끼다’, ‘살 맞다’ 등이 흔히 그런 표현으로 쓰인다 ‘살이 가다’는 것은 대수롭지 않게 건드렸다가 공교롭게 상하거나 깨지는 경우로서 악귀의 침범이 있다는 뜻이다 하는 일마다 실패하면 ‘살이 끼었다’고 믿는다 그것을 ‘살이 서다’로 표현하기도 한다 초상집·제삿집·혼인집 등에 갔다가 갑자기 탈이 난 경우에는 악귀의 침범을 받았다는 뜻으로 ‘살 맞았다’고 말한다 사람을 해치거나 물건을 깨치는 독살 궂은 기운이나 악귀의 짓이 들러붙었다고 믿으면 ‘살(이) 올랐다’고 한다 한편 ‘살 오르다’는 일가친척 사이에 띠앗머리(형제 자매 사이에 우애하는 情誼)를 사납게 하는 악귀가 들러붙었다고 믿을 경우에 쓰인다 일가친척 사이에 띠앗이 사납다는 뜻으로 또한 ‘살이 세다’라고 표현되는데, 황석영(黃晳映)의 「장길산 張吉山」에 그같은 표현이 나온다, “……그 배에 오는 망재는 세상 있을 적에 부모에 불효하고 동기간에 우애 없고 일가에 살이 세고 동네사람에게 불순하고……”가 그것이다 갑자기 닥치는 재액을 두고 ‘급살이 났다’, ‘급살(을) 맞았다’는 표현도 드물지 않다 살 개념은 오늘날 풍수지리나 무(巫)의 굿 및 치성에서 아직 통용된다 그러나 민간의 살 개념은 이제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 한국사회가 서양화·산업화되고 서양식 합리주의가 교육·보편화되면서 그런 개념은 비합리적인 것으로 점차 치부(마음속으로 어떠하다고 여김)되어 버린 것이다 액막이(厄─) 개인이나 가정에 닥치는 질병·고난·불행 등의 액·액운을 미리 막기 위하여 행하는 민속의례 개인이나 가정에 닥치는 질병·고난·불행 등의 액·액운을 미리 막기 위하여 행하는 민속의례 내용‘도액(度厄)’ 혹은 ‘제액(除厄)’이라고도 한다 액막이는 대개 정월에 하는데 액이 닥쳐오리라고 생각될 때에 비정기적으로 행하기도 한다 액막이를 하는 방법은 혼자서 간단히 하는 방법, 또는 무당 등을 불러서 하는 방법 등 다양한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정초에 삼재(三災)가 든 사람은 머리가 셋이고 몸뚱이가 하나인 매그림이나 호랑이그림 또는 부적을 방문 위나 문설주에 붙여서 액을 막는다 또 그해의 신수가 나쁜 사람은 정월 열 나흗날 밤에 짚으로 오쟁이 세 개를 만들어 그 속에 모래나 돌, 그리고 동전 몇 닢을 넣고 개천이나 징검다리 사이에 놓아 디딤 다리가 되게 하는데, 이를 ‘오쟁이 다리놓기’ 또는 ‘노두(路頭)’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