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문살 진상문 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 - 일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한적화 천수보살 #Shorts

상문살 진상문 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 - 일산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한적화 천수보살 #Shorts

#상문살 #진상문 #나타나는 #현상 #일산점집 #용한점집추천 #유명한점집후기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한적화_천수보살 #재수굿 #신내림굿 #Shorts 한적화 천수보살 상담전화:010 8285 1811 상담장소:일산 시장(앞)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상문(喪門)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 상문은 죽음으로 인한 부정함을 말하거나 ‘상문살(喪門煞)’이라는 표현에서 드러나듯 그러한 죽음의 부정한 기운을 말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문각시 상문도령’이라는 말에서 나타나듯 죽음의 부정이 의인화된 존재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편 상문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죽은 달이 아직 경과하지 않은 사람의 넋을 말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상문은 죽음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 부정이나 나쁜 기운이다 이 때문에 상문은 죽음의 여러 측면과 관련해 다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죽은 사람과 관련된 상문이 있다 “아이상문 어른상문 남상문 여상문”이 그것이다 죽음의 시기와관련한 상문도 있다 “해 묵은 상문 철 묵은 상문 신상문 구상문”이다 죽음을 둘러싼 행위와 연관된 상문도 있다 “머리풀어 발상상문 은하수 대곡(大哭)상문”이 그것이다 또한 상문이 침범하는 장소나 방식과 관련된 상문도 있다 “사랑 네귀에 범한 상문 외행랑 네 행랑에 범한 상문 지촉부의(紙燭賻儀) 왕래 상문 통부서(通訃書)에 따라온 상문 묻어 들어온 상문 따라 들어온 상문”이다 무속의 굿에서 이렇게 다양한 상문을 쳐들어 물리는 것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죽음으로 인해 발생한 온갖 상문을 다 물리어서 그것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를 막겠다는 것이다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하는 인간 삶의 문제를 차단하고 해결하려는 것이 굿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이는 당연하다 또 하나의 의미는 죽음과 관련된 모든 것에서 상문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만큼 죽음이 인간 삶을 위협할 수 있는, 흔히 상문ㆍ상문살로 표현되는 문제를 일으키는 강력한 원인이라는 것을 말해 준다 죽은 지 한 달이 지나지 않은 사람의 넋 죽은 지 얼마 안 된 사람의 넋은 위험시되어왔다 서울의 열두거리를 보면 부정거리에 상문에 관한 것이 나오는데, 그 종류를 보면 남상문(男喪門)·여상문(女喪門)·노인상문·소년상문·머리푼 발상상문(發喪喪門)·내상문(內喪門)·외상문(外喪門) 등 죽은 사람에 따라서 명칭을 붙이고 있다 그러나 상문이 범하고 있는 장소에 따라서도 상문이라는 말을 붙여서 쓰고 있다 즉, ‘지촉부의왕래상문(紙燭賻儀往來喪門)’, ‘통부서(通訃書)에 따라온 상문’ 등이 그 예인데, 죽은 사람의 집에서 부고나 촛불·부의금 등에 모두 이러한 넋이 따라온다고 여긴다 상가에 모여드는 악귀를 ‘상문살귀(喪門殺鬼)’라고도 한다 화성(華城)지역 부정굿거리 무가(巫歌)를 보면, “뜬 상문에 가든 수비·진 상문에 가든 수비, 거리객사허든 수비·네 많이 먹구 물려시구……”라는 대목에서 ‘뜬 상문’과 ‘진 상문’이라는 말을 발견할 수 있다 상문을 단지 상사(喪事)로부터 생긴 나쁜 기운이나 상사부정(喪事不淨)이라고 정의하는 경우도 있다 상문은 대접하고는 곧 내쫓아야 하는 위험한 귀신으로 알려져 있는데, 죽은 지 얼마 안 된 넋이 살아 있는 사람을 괴롭히며, 유달리 위험한 넋이라는 생각은 다른 무속사회에서도 흔히 있는 생각이고, 일본 민간에서는 이를 ‘아라미타마(新靈)’라고 부르고 있다 사자(死者)란 의식에서 떨어져나간 콤플렉스로 이러한 상문의 관념은 죽음이 살아 있는 사람의 마음속에 일으키는 충격과 절망, 허탈감을 대변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정신상태의 위험성을 암시하여 주고 있다 상문살(喪門煞) 살煞은 사람이나 물건을 해치는 독하고 모진 기운을 말하는데, 상가喪家에서 맞는 살을 상문살이라고 함 상문살을 맞으면 갑자기 병이 나거나 심하면 급사急死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상가에 다녀오면 대문 앞에서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뿌려 부정을 막는다 상가의 물건도 가능한 한, 집안에 들이지 않는다 부정을 가리는 사람은 상가 음식을 절대 먹지 않는다 불가피하게 상가에 가야 할 때에는 예방책으로 주머니에 붉은 팥 또는 콩 너덧 알을 넣어서 간다 팥이나 콩은 상가에 들어가기 전에 대문 밖을 향해 흩뿌리거나 초상집에서 나오자마자 먼 곳을 향해 던져버린다 초상집에 다녀와 집안에 들어가기 전에 대문 앞에 서서 짚을 태워 뛰어넘기도 한다 상문 부정을 소상문小喪門과 대상문大喪門으로 나누기도 한다 정초에 신수를 보아 운이 나쁜 달에는 상갓집 근처에도 가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하면, ‘소상문’에 해당된다 장례 때 산에서 하관下棺하는 것을 목격하여 살을 맞기도 하는데, 이를 ‘대상문’이라 한다 대상문을 피하기 위해서는 지관이 일러주는 대로 하관할 때 잠시 자리를 피하는 것이 좋다 대상문은 사람이 아닌 물건에 닿는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물건이 심하게 파손될 수 있다 지역사례 상문살은 전국 분포를 보이는 현상이다 충북괴산 동부리의 한 제보자가 1991년 상문살을 맞아 무척 고생한 사례에 대한 보고를 보면 다음과 같다 염습을 잘하기로 소문이 난 제보자는 여느 때처럼 상가에 가서 염습을 하고 일을 거들었다 그리고 다음날은 장지까지 동행했는데, 망인의 옷을 처리하기 위해서 가지고 갔다 그런데 제보자가 도착하자 갑자기 세찬 바람이 불더니 천막이 쓰러져서, 그 일로 갈비뼈가 부러지고 한동안 병상에 있었다 그러나 치료가 원활하지 않아 무당을 찾아가서 물어보니, 상문살을 맞은 것이라 하여 굿을 하여 치유했다고 한다 상문살로 인해 병이 생기면 병원에 가도 차도가 없다 주부가 객귀물리기를 하듯이 의례를 하거나 심하면 무당을 찾아가 굿을 하거나 절에 가서 살풀이를 해야 효험을 본다 환자의 증상도 여러 가지인데 충북 괴산 청천면 금평리의 한 제보자는 상가에 다녀온 후 며칠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하고 심하게 앓았는데, 병원에 가도 차도가 없었다 결국, 용하다는 무당을 찾아가서야 상문이 원인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굿을 하고 이틀 만에 효험을 보았다고 한다 특징 및 의의 상문살은 상가, 그와 관련된 장지葬地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맞으며, 예방을 통해 피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막상 당했을 때에는 반드시 의례를 행한다 주부가 할 수도 있지만 상문살에 의한 병이 깊었을 때에는 무당굿을 하거나 절에 가서 풀이를 하기도 한다 살(煞) 사람이나 생물·물건 등을 해치는 독하고 모진 기운을 가리키는 종교용어 한국의 무(巫)에서 살은 하위신령인 잡귀잡신(雜鬼雜神)의 일종으로 형성되기 직전의 어떤 흉악한 기운으로 이해된다 19세기말 난곡(蘭谷)이 펴낸 『무당내력(巫堂來歷)』에 오방신장(五方神將)이 일체의 사귀(私鬼)와 잡신(雜神)과 제반 살격(殺格)을 제거해 준다고 하는 서술이 있는 바, 조선조 말에 이미 살을 하나의 격(格)으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인다 살의 유래는 아직 미상이다 중국의 음운서인 『집운(集韻)』에는 살을 殺(살)이라 하고 殺(살)은 또 煞(살)이라 한다 하였다 두 살이 원래 상통함을 일러준다 그러면서 살(煞)은 중국의 민간신앙에서 흉신(凶神)을 가리키는 것으로 전개되었다 그에 따라 살신(煞神)이니 흉신악살(凶神惡煞) 등의 개념이 형성·통용되어 온다 한편 살(殺)은 풍수지리에 수용되어 흉악한 방향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살에 관한 중국의 이런 관념들은 풍수지리와 도교가 한국에 도입되면서 적절히 소화·신앙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것은 대개 고려 초의 일로 추정된다 그러나 흉신으로서의 살의 개념은 한국의 무(巫)에 직접 받아들여지지 않고 다만 흉악한 기운 정도로 완화되어 수용되었던 것이다 한국에 수용된 살 개념은 조선조를 거치면서 크게 세 영역에서 나름대로 전개되어 오늘에 이른다 무(巫)에서의 살(煞) 개념, 풍수지리의 살(殺) 개념, 그리고 민간의 일반적인 살(煞) 개념이 그것이다 무에서 살은 사람·생물·물건 등을 해치는 잡귀잡신적 흉악한 기운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다시 굿에서의 주당살(周堂煞)과 치성에서의 상문살(喪門煞) 및 살풀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당살은 굿의 첫머리에 놀아지는 주당물림에서 경계되는 주당의 흉한 기운이다 주당물림은 굿상을 다 차리고 홍철릭을 문안에 걸어놓고 집안의 문을 다 열어놓고 제가 집안의 식구들이 다 나간 상태에서 장구와 제금만을 쳐서는 동네의 모든 신들이 그 소리를 듣고 굿판으로 들어오게 하는 것이다 신령들이 그리하여 들어오는 집안의 주요 장소는 우물·대문·행랑·변소·마굿간·마루·굿하는 장소·방 등 여덟 곳인데, 사람이 이때 그런 장소에 있으면 주당살을 맞는다고 한다 치성에는 살과 관련된 것으로 상문풀이와 살풀이 두 가지가 있다 사람이 상가(喪家)에 다녀와서 몸이 불편하거나 아플 때, 무에서는 상문살을 맞았다고 본다 상문살은 사람이 죽은 방위로부터 퍼진다는 흉악한 기운이다 이러한 상문살을 제거하기 위하여 무당을 불러 상문풀이를 행한다 옛날에는 장님 독경자(讀經者)인 판수에게 가서 상문풀이를 벌이기도 하였다 살풀이는 태어날 때부터 또는 대인관계에 살이 끼어 있다고 판명될 때 무당에 의해 베풀어지는 치성이다 풍수지리에 사용되는 살에는 삼백여 종이 있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 무기살(戊己殺)·황천살(黃泉殺)·팔요살(八曜殺)을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