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만나는시간NOW] “세계대공황이 남긴 것.. 뉴딜 그리고 파시즘” (이원복) 4.2(목)/ YTN 라디오

[세계를만나는시간NOW] “세계대공황이 남긴 것.. 뉴딜 그리고 파시즘” (이원복) 4.2(목)/ YTN 라디오

[세만시] “세계대공황이 남긴 것.. 뉴딜 그리고 파시즘” (이원복) 4.2(목) 세계를만나는시간 NOW 방송 시간 : 평일 오전 10:10~11:00 세계를 만나는 시간 NOW_ 세계사로 뉴스읽기 x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 (먼나라 이웃나라 저자) [세계를 만나는 시간, NOW 다시듣기] https://radio.ytn.co.kr/program/?s_mc... [앵커멘트] 역사 속에서 세계를 배우는 시간이죠. 세계사로 뉴스 읽기 세만시의 역사 선생님이시죠. 덕성여대 이원복 석좌교수, 스튜디오에 나와 계십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인사) 1. 코로나19 사태가 잦아들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전세계 경제가 얼어붙고 있는 상황이고요. 이에 세계대공황 때와 비슷하다, 오히려 더 피해가 심각할 것 같다는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거든요. 그래서 오늘 이 시간에는 세계대공황이라 불리던 역사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2. 방금 교수님께서 세계대공황이 일어난 시점 이야길 해주셨는데... 다른 역사도 그렇듯이 그 날 갑자기 일이 터진 게 아니라 그 전에 어느 정도 시그널이 있잖아요. 그래서 우리가 시대적 상황이란 걸 살펴봐야하지 않습니까? 3. 그렇게 경제가 호황을 이뤘는데 왜 대공황이란 상황까지 가게 됐는지, 원인이 있을 것 같은데요? 4. 그렇게 주식값이 빠르게 폭락하면서 앞서 언급해주셨던 1929년 10월 24일, 검은 목요일,이 오게 된 거죠! 5. 워낙 경제가 호황이었기 때문에 정부, 은행기관, 일반국민이.. 패닉이라고 해야할까요. 말 그대로 대공황 상태였을 것 같아요! 6. 이 같은 위기가 미국에만 그쳤던 게 아니라 유럽으로까지 퍼져나가지 않았습니까. 7. 그리고 당시 미국 경제가 워낙 어렵다 보니까 정부에서 여러 대책들을 강구했을 것 아닙니까. 그리고 그 중 하나가 1930년에 통과된 ‘스무트 홀리’법이 있는데 이 법이 오히려 경제위기를 부채질 했다, 이런 이야기가 있더라고요? 8. 후버 행정부의 잘못된 정책 집행으로 경제위기가 계속 심화되는 가운데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에 새로 취임했고 그 유명한 뉴딜정책이 나오게 되죠! 9. 오랜 시간이 걸렸고 많은 사람들의 고통이 뒤따랐습니다만 어쨌든 세계대공황이라는 상황을 이겨냈는데... 이 같은 경제적 위기가 정치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쳤잖아요. 세계대공황이 파시즘이 등장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 않았습니까. =============== 교수님,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인사 듣고) 지금까지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