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30년 동안 이어진 수능...앞으로 어떻게 변해야? / YTN
[앵커] '월간 뉴있저' 시간입니다 이번 달은 학교를 주제로 다양한 소식을 전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하루 앞으로 다가온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민대홍 PD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1회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시작된 게 1993년이니까, 올해로 딱 30년이 됐어요 30년 동안 입시제도가 많은 변화를 겪었지만, 대학입시에서 수능의 위상은 여전한 것 같아요? [PD] 말씀하신 대로 첫 수능이 치러진 지 30년이 됐는데요 여전히 대학 입시에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행 대학입시는 정시와 수시 전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요 수능 성적만을 기준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정시 전형은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추세를 보면, 정시 비율은 지난 2004년 56%에서 올해 22%까지 감소하는 등 줄고 있고요 반대로, 수시 전형 비중은 그만큼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수능 성적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여전히 수능이 대학 입시에서 차지하는 영향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올해로 30살이 된 수능이 어떻게 변해왔고,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특별한 이들을 만나보고 왔다고요? [PD] 30년 전 수능이 어떤 취지로 생겨났는지, 당시 수능은 어땠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능을 개발한 초대 평가원장과 첫 수능을 본 1세대 수험생 등을 만났는데요 이들을 만나 수능의 의미와 또 수능의 변화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 등 다양한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영상 먼저 보시겠습니다 [앵커] 수능이 대학 선발 과정에서 하나의 자료로 사용되어야지, 이것만으로 당락을 결정하는 기준이 돼서는 안 된다는 말을 했는데요 그만큼 수능에 대해 찬반이 뜨거운 현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 같아요? [PD] 수능을 둘러싼 논란은, 출제 방식을 포함한 시험 자체에 대한 논란뿐 아니라, 사교육과 교육 불평등 문제 등 여러 층위의 사회문제들이 엮여 있어서 결코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닙니다 크게 봤을 때 수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쪽은, 수능이 상대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한 평가"라는 입장입니다 전국 대부분 학생이 동시에 시험을 보고, 시험 문제도 객관식 위주여서 평가 결과에 대해서도 이견이 적기 때문인데요 논술, 면접 등 다면 평가의 경우 채점자의 주관이 크게 작용할 수 있고, 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실력이 크게 오르기 힘들다는 주장이 나옵니다 특히, 봉사활동 등 교내외 활동 실적에는 이른바 '학부모 찬스'가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건데요 사는 지역이나 정보 접근성에 따라 학생 편차가 클 수밖에 없는 다른 전형에 비해 수능이 객관적이고 공정하다는 주장입니다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이 현 / 우리교육연구소 이사장 : 어디서 인턴을 했다고 하는 게, 학생의 능력인가… 부모나 다른 배경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그런 제도들을 공정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학원에 다니든, 과외를 받든 자기가 그걸 자기 거로 만들어서 자기 실력으로 보여줘야 하는 시험이라는 겁니다 (수능은) 기본적으로 같은 조건이 주어진 상태 속에서 성적 경쟁을 하게 되는 것이고 그 성적 자료 가지고 선발하는 것이니까 공정하다고 말할 수 있다 ] [앵커] 입시제도의 공정성 측면에서 수능이 더 낫다는 주장인데요 하지만 수능 시험의 한계나 부정적인 면도 있을 텐데요 [PD] 시험 방식 자체가 객관화된 평가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다면적인 평가가 어렵다는 게 핵심입니다 다들 아 (중략) ▶ 기사 원문 ▶ 채널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