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 바다 위 교통사고 '선박 충돌 화재'

한밤중 바다 위 교통사고 '선박 충돌 화재'

29일 새벽 부산 영도구 태종대 앞바다에서 유독성 화학물질을 가득 실은 케미컬 운반선과 대형 화물선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해 화학물질이 해양을 오염시킬 우려에 처했다 사고 이후 두 선박의 승선원 91명은 다행히 모두 구조됐지만, 케미컬 운반선에 불이 붙어 해양경찰 등이 진화에 나섰다 29일 부산해양경찰서(서장 배진환)에 따르면 이날 오전 2시 15분께 태종대 남동쪽 15㎞ 해상에서 시운전 중이던 바하마 선적 화물선 G호(5만 5천t·승선원 64명)가 홍콩 선적 케미컬 운반선 M호(2만 9천200t·승선원 27명)와 부딪혔다 G호의 오른쪽 선수 부분과 M호의 왼쪽 옆부분이 충돌했다 이날 사고로 아크릴로니트릴 등 인화성 화학물질을 실은 케미컬 운반선 왼쪽 중앙 3, 4번 탱크에 8m가량의 구멍이 뚫리면서 이 선박이 삽시간에 큰 불길에 휩싸였다 케미컬 운반선에는 좌·우현에 각각 10개씩, 모두 20개의 탱크가 있다 탱크에 있던 파라자일렌(2만 221t)과 아크릴로니트릴(4천t) 등은 불에 모두 탔고 다른 탱크로는 번지지 않은 상태다 M호는 당초 화학물질 2만 9천337t을 싣고 있었으며 3, 4번 탱크에는 총 4천470 t의 화학물질이 적재돼 있었다 경찰은 현재 2만 4천800여t의 화학물질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가 나자 부산해경 경비정 16척과 해군 함정, 헬기와 소방정 등이 현장에 출동해 1시간여 만에 두 선박의 승선원 91명을 무사히 구조하는 한편 화물선을 부산 감천항 수리조선소로 인양했다 선원들은 찰과상 등 가벼운 부상을 입고 숙소에서 안정을 취하고 있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화물선 승선원 중에는 한국인 선원도 52명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경은 신속한 진화작업으로 사고 발생 8시간 만인 이날 오전 10시께 큰 불길은 잡혔다고 밝혔다 하지만 선박화재 여파로 케미컬 운반선이 가열되고 연기가 나서 이날 오후 6시께까지 물을 뿌리며 선박을 식히는 작업이 계속됐다 해경에 따르면 케미컬 운반선에 실렸던 아크릴로니트릴, 파라자일렌, 스타이렌 등 유독성 화학물질은 화재 위험이 있어 2차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크릴로니트릴은 합성섬유, 고무, 살충제 제조에 사용되며 인체에 닿으면 암 등 유전적 결함을 유발한다 파라자일렌과 스타이렌도 유독성 인화물질이다 해경 관계자는 "경비정이 사고현장 주변 해상을 살펴본 결과 화학물질이 유출되거나 바다가 오염된 피해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그래서 오일펜스도 설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케미컬 운반선의 선체는 좌현으로 5~20도가량 기운 상태지만 경찰은 침몰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화물선 선장은 "케미컬 운반선이 선수 쪽에서 접근하는 것을 보고 VHF 무선전화기로 호출경고를 했으나 답변하지 않았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해경은 이날 사고 해역에 안개가 끼지 않은 점 등으로 미뤄 운항 부주의로 사고가 났을 것으로 추정하고, 두 선박의 선장과 항해사 등을 상대로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해경은 "현재까지 불꽃이 남아 접근이 불가능하며, 진화작업이 끝나야 선박 내 유독물질을 다른 선박에 이적하고 예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오후 7시 25분 현재 사고가 난 지 17시간 정도 지났지만 해경은 이들 독성물질 때문에 선박에 근접하지못하고 선박과 탱크를 완전 냉각시키는 작업만 하고 있다 현재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았고 충돌에 따른 충격과 화재의 영향으로 M호 선체가 두 동강 날 경우 최악의 사태가 빚어질 수 있다 확률이 높진 않지만 불이 완전히 꺼지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탱크에 화재가 나면 엄청난 화재와 폭발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배가 두 동강 나면서 탱크가 파손되면 독성이 강한 각종 유해물질이 바다로 유출돼 해양오염 같은 2차 피해를 낼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경에 따르면 M호는 선박에 2천500만 달러, 해상오염에 대비해 10억 달러의 보험에 가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M호는 28일 오후 11시께 울산항을 떠나 중국으로 향하던 중이었으며, G호는 같은 날 오후 9시 45분께 울산 미포항을 떠나 경남 거제 홍도 쪽으로 시운전 중이었다 김현아·조영미 기자 영상제공=부산해양경찰서·김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