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468개
일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일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468개] 1) 天方地方(천방지방):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2) 可與樂成(가여낙성):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3) 濫竽(남우):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4) 喜出望外(희출망외):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일이 뜻밖에 생김 5) 感懷(감회): 지난 일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6) 輕事重報(경사중보):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7) 同惡相助(동악상조): 악인(惡人)도 악(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8) 多事多端(다사다단): 여러 가지 일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9) 堂內至親(당내지친):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10) 頭東尾西(두동미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일 11) 割鷄牛刀(할계우도):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12) 刻骨憤恨(각골분한):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일 13) 雪上加霜(설상가상):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14) 樂爲之事(낙위지사): 즐거워서 하는 일 또는 즐거움으로 삼는 일 15) 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좋은 일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일은 이내 널리 알려짐 16) 門外漢(문외한): (1)어떤 일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일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17) 積善之家(적선지가): 착한 일을 많이 한 집 18) 可痛之事(가통지사): 통탄할 만한 일 19) 梟首警衆(효수경중):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일 20) 精神一到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21) 牛刀割鷄(우도할계):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2) 圓孔方木(원공방목):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23) 懸權而動(현권이동):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일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24) 無爲無事(무위무사): (1)하는 일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일도 없고 할 일도 없음 25) 實事求是(실사구시):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26) 狐疑未決(호의미결):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27) 天地之平(천지지평): 천지가 공평한 일 28) 辟邪進慶(벽사진경): 나쁜 귀신을 쫓고 경사스러운 일로 나아감을 이르는 말 29) 專心致之(전심치지):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 30) 得兎忘蹄(득토망제): 토끼를 잡고는 올무를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 31) 彰往察來(창왕찰래): 이미 지난 일을 분명하게 밝혀서 장차 올 일의 득실을 살핌 32) 顔面不知(안면부지) 33) 社鼠(사서) 34) 望雲(망운) 35) 農不失時(농불실시) 36) 自手成家(자수성가) 37) 仁者安仁(인자안인) 38) 安心決定(안심결정) 39) 百千萬事(백천만사) 40) 多發將吏(다발장리) 41) 晴耕雨讀(청경우독) 42) 徑先處斷(경선처단) 43) 草木俱朽(초목구후) 44) 擧覺(거각) 45) 啞然失色(아연실색) 46) 嘗膽(상담) 47) 傾囷倒廩(경균도름) 48) 夜以繼晝(야이계주) 49) 開物成務(개물성무) 50) 自力回向(자력회향) 51) 無爲之治(무위지치) 52) 溫凊定省(온정정성) 53) 花鳥使(화조사) 54) 畵虎不成(화호불성) 55) 前代未聞(전대미문) 56) 如履薄氷(여리박빙) 57) 漆者不畵(칠자불화) 58) 百計無策(백계무책) 59) 月滿則虧(월만즉휴) 60) 大馬不死(대마불사) 61) 稱體裁衣(칭체재의) 62) 言有召禍(언유소화) 63) 探囊取物(탐낭취물) 64) 權謀術數(권모술수) 65) 笑啼兩難(소제양난) 66) 思慮分別(사려분별) 67) 謀事在人(모사재인) 68) 積善餘慶(적선여경) 69) 事事不成(사사불성) 70) 結局原因(결국원인) 71) 修身齊家(수신제가) 72) 信言之瑞(신언지서) 73) 一騎當千(일기당천) 74) 謀殺未遂(모살미수) 75) 催枯拉朽(최고납후) 76) 悖入悖出(패입패출) 77) 抱痛西河(포통서하) 78) 半凶半吉(반흉반길) 79) 拜家慶(배가경) 80) 養志(양지) 81) 春分(춘분) 82) 平地落傷(평지낙상) 83) 濟度利生(제도이생) 84) 麻姑爬痒(마고파양) 85) 生民之始萬福之原(생민지시만복지원) 86) 割剝之政(할박지정) 87) 述者之能(술자지능) 88) 鼻祖(비조) 89) 捕風捉影(포풍착영) 90) 使鷄司夜(사계사야) 91) 無事奔走(무사분주) 92) 生殺與奪(생살여탈) 93) 淸明(청명) 94) 四俱一生(사구일생) 95) 好好先生(호호선생) 96) 漆身呑炭(칠신탄탄) 97) 行則思義(행즉사의) 98) 他弓莫輓(타궁막만) 99) 見機而作(견기이작) 100) 沐露(목로) 101) 禪讓放伐(선양방벌) 102) 慘草除根(참초제근) 103) 推敲(퇴고) 104) 言笑自若(언소자약) 105) 經國之才(경국지재) 106) 驟雨不終日(취우부종일) 107) 百擧百捷(백거백첩) 108) 我藝黍稷(아예서직) 109) 無事不涉(무사불섭) 110) 四時長靑(사시장청) 111) 高拱(고공) 112) 丹筆定罪(단필정죄) 113) 前後曲折(전후곡절) 114) 血脈上昇(혈맥상승) 115) 敬天勤民(경천근민) 116) 發憤忘食(발분망식) 117) 酒囊飯袋(주낭반대) 118) 些少之事(사소지사) 119) 不知不識間(부지불식간) 120) 年中無休(년중무휴) 121) 萬事無心(만사무심) 122) 已往之事(이왕지사) 123) 指日可期(지일가기) 124) 千里行龍(천리행룡) 125) 寧爲鷄口(영위계구) 126) 白日飛昇(백일비승) 127) 結者解之(결자해지) 128)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129) 轉迷開悟(전미개오) 130) 行有餘力(행유여력) 131) 仰望終身(앙망종신) 132) 兩窮相合(양궁상합) 133) 折枝之易(절지지이) 134) 生面不知(생면부지) 135) 欽恤之典(흠휼지전) 136) 漆室之憂(칠실지우) 137) 見善從之(견선종지) 138) 凱旋將軍(개선장군) 139) 魔戱(마희) 140) 杯水車薪(배수거신) 141) 恕而行之(서이행지) 142) 面折廷爭(면절정쟁) 143) 一石二鳥(일석이조) 144) 道學先生(도학선생) 145) 時機尙早(시기상조) 146) 無爲徒食(무위도식) 147) 創業守成(창업수성) 148) 兼事兼事(겸사겸사) 149) 先公後私(선공후사) 150) 自力更生(자력갱생) 151) 反水不收(반수불수) 152) 行禪祝願(행선축원) 153) 山呼萬歲(산호만세) 154) 仕非爲貧(사비위빈) 155) 專心致志(전심치지) 156) 河淸(하청) 157) 妻城子獄(처성자옥) 158) 自作孼(자작얼) 159) 盡日之力(진일지력) 160) 落葉歸根(락엽귀근) 161) 連日連時(연일연시) 162) 大人大耳(대인대이) 163) 好事不如無(호사불여무) 164) 減膳撤樂(감선철악) 165) 不勞所得(불로소득) 166) 坐臥起居(좌와기거) 167) 活潑潑地(활발발지) 168) 前轍(전철) 169) 宿虎衝鼻(숙호충비) 170) 散華(산화) 1467) 覆水不返盆(복수불반분): 엎지른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다는 뜻으로, 일단 저지른 일은 다시 되돌릴 수 없다는 말 ≪습유기≫에 나오는 말이다 1468) 飯囊(반낭): (1)밥을 담는 주머니 (2)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밥이나 축내는 쓸모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Background music: Bensound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