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길라잡이 농업관측 (축산, 곡물 6월 관측)

영농길라잡이 농업관측 (축산, 곡물 6월 관측)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NBS 한국농업방송이 함께하는 영농길라잡이 농업관측! 축산(한육우, 돼지, 육계, 산란계)와 곡물의 6월 관측월보를 함께 살펴볼까요? [6월 한육우 전망] ● 하반기 한우 도매가격 하락세 전망 - 하반기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와 수요 감소로 전분기 대비 하락세 전망 ● 2020년 한우 사육 마릿수 가임암소 마릿수와 1세 미만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3 0% 증가한 317만 1천 마리 전망 - 1세 미만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2 1% 증가한 92만 5천 마리, 가임암소 3 1% 증가한 153만 마리 전망 ● 2021년 328만 마리(전년보다 3 4% 증가), 2022년 336만 2천 마리(2 5% 증가) 전망 ● 2020년 도축 마릿수는 사육 증가로 전년(76만 5천)과 평년(74만 8천)보다 증가한 79만 마리 수준 전망 ● 한우 도축 마릿수 지속적으로 늘어 2021년 86만 마리 내외, 2022년 90만 마리 내외로 전망 ● ’20 6월 송아지가 입식시 도축이 예상되는 ’22 6월 출하량 증가(평년 대비 27%↑)로 가격 하락 예상, 신중한 입식결정 필요 ● 사육 및 도축 마릿수 과잉 발생, 암소감축을 통한 사육 마릿수 조절 필요 [6월 돼지 전망] ● 21년 6월 돼지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3 3%, 평년보다 3 4% 증가 전망 - 20년 6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11,786천 마리로 전년 동월 대비 2 8% 감소, 평년 대비 0 1% 증가 전망 - 21년 6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12,174천 마리로 20년 동월 대비 3 3%, 평년대비 3 4% 증가 전망 ● 21년 상반기 도축 마릿수 전년보다 1 1% 감소, 평년보다 5 6% 증가 전망 - 20년 6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1,278천마리)과 평년(1,273천마리)보다 증가한 1,290∼1,390천 마리 전망 - 21년 상반기 도축 마릿수는 8,983천마리로 전년 동기(9,084천마리) 대비 1 1% 감소, 평년 동기 대비(8,508천마리) 5 6% 증가 전망 ● 20년 6월 자돈 입식 시 20년 12월 도축마릿수는 1,589천마리로 평년(1,512천)에 비해 5 2% 많고, 후보모돈 입식 시 21년 6월 도축마릿수는 1,456천마리로 평년(1,294천)에 비해 12 5% 많을 전망 ● 20년 6월 이후 후보모돈 입식 증가 시 21년 6월 이후 공급과잉이 우려되므로 생산 농가들은 신중하게 입식을 결정할 필요 [6월 산란계 전망] ● 6∼8월 6개월령 이상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감소, 평년보다 많을 전망 - 전년도 병아리 입식 감소와 최근 노계 도태 증가로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6개월령 이상 사육 마릿수가 줄어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전년도 종계 사육 마릿수 감소로 병아리 생산이 줄어 2020년 6개월령 이상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감소 전망 ● 6∼8월 계란 생산량 6개월령 이상 마릿수 줄어 전년보다 1 7% 감소 전망 ● 6∼8월 계란 산지가격 전년보다 상승한 950∼1,100원/특란10개 전망 ● 9, 12월 6개월령 이상 사육 마릿수는 병아리 입식이 줄어 전년보다 감소 전망, 이에 따라 산란계 사육 마릿수도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산란계 사육 마릿수가 평년 대비 많은 상황, 꾸준한 병아리 입식 조절과 성계 도태가 필요 [6월 육계 전망] ● 6월 생계유통가격 전년보다 하락한 900~1,000원/kg 전망 - 4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1 4% 감소한 497만 2천 마리, 종계 총 사육 마릿수는 4 0% 감소한 836만 8천 마리 추정 - 5월 병아리 생산량은 성계 사육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전년보다 2 6% 증가할 것으로 추정 - 6월 도계 마릿수는 병아리 생산 증가에 따른 육계 사육 증가로 전년보다 4 3% 증가한 9,926만 마리 전망 - 6월 생계유통가격은 육계 도계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낮은 900∼1,000원/kg 전망 - 하반기 도계 마릿수는 병아리 생산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 2 7% 증가한 5억 6,644만 마리로 전망됨에 따라 합리적인 병아리 입식 조절 필요! [6월 쌀 전망] ■ 2019년산 단경기 가격 계절진폭 발생 전망 - 2019년산 단경기 쌀 평균 가격은 19만 1천 원/80kg 내외 -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학교 급식 및 외식 관련 수요가 증가할 경우 단경기 내 재고가 소진되어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 ■ 2020년 벼 재배면적 72만 8천ha 전망 - 금년 벼 재배면적은 타작물 전환 정책 영향 등으로 전년보다 감소하겠으나, 조곡 가격 상승세 등의 영향으로 전년과 비슷할 전망 - 평년 수준의 작황을 가정하면, 금년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3% 증가한 385만 7천 톤 수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NBS한국농업방송, #농업관측, #쌀, #한육우, #축산, #곡물, #콩, #돼지, #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