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 아리랑, #홀로아리랑, #1박2일배경음악, #조용필평양콘서트, #서유석, #7080추천곡, #독도지키기, #독도의날, #독도사랑,
홀로 아리랑, #홀로아리랑, #1박2일배경음악, #조용필평양콘서트, #,서유석 #7080추천곡, #독도지키기, #독도의날, #독도사랑, 홀로아리랑 가사 저 멀리 동해바다 외로운 섬, 오늘도 거센 바람 불어오겠지? 조그만 얼굴로 바람 맞으니 독도야 간밤에 잘 잤느냐? 아리랑 아리랑 홀로아리랑, 아리랑 고개를 넘어가 보자 가다가 힘들면 쉬어 가더라도, 손잡고 가보자 같이 가보자 금강산 맑은 물은 동해로 흐르고, 설악산 맑은 물도 동해 가는데, 우리네 마음들은 어디로 가는가? 언제쯤 우리는 하나가 될까? 아리랑 아리랑 홀로아리랑, 아리랑 고개를 넘어가 보자 가다가 힘들면 쉬어 가더라도, 손잡고 가보자 같이 가보자 백두산 두만강에서 배 타고 떠나라 한라산 제주에서 배 타고 간다 가다가 홀로 섬에 닻을 내리고, 떠오르는 아침 해를 맞이해보자 아리랑 아리랑 홀로아리랑, 아리랑 고개를 넘어가 보자 가다가 힘들면 쉬어 가더라도, 손잡고 가보자 같이 가보자 #1박2일배경음악, #조용필평양콘서트, #홀로아리랑, #7080추천곡, #독도지키기, #독도의날, #독도사랑, #한돌, #서유석 1박2일배경음악, 조용필평양콘서트, 홀로아리랑, 7080추천곡, 독도지키기, 독도의날, 독도사랑, 한돌, 서유석 1박2일배경음악, 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 곡이 인지도를 얻은 것이라 여기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것도 맞지만 먼저 조용필평양콘서트, 에서 인지도를 얻은 후 1박 2일에서 다시 사용하여 더 높은 인지도를 얻은 것이라 봐야 한다 물론 1박 2일에서 사용됨으로써 이 노래가 다시 사람들에게 유명해진 것도 맞는 사실이다 홀로 아리랑’은 독도지키기를 위해 만들어진 노래로 음악인 한돌(본명 이흥건, 1953년생)이 작사․작곡, 취입했다 작사가, 작곡가 겸 포크가수인 한돌이 북한에 고향을 둔 실향민 아버지를 떠올리며 만든 곡으로 알려져 있다 남과 북이 배를 타고서라도 만날 수 있는 곳이 동해에 있는 섬 독도라 생각하고 노랫말을 쓰고 곡을 붙인 것이다 이 노래는 ‘제2의 애국가’라 할 만큼 나라사랑 마음과 한겨레의 혼이 서린 가요로 꼽힌다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사람들에 대한 ‘경고메시지’이기도 하다 독도사랑과 어려움을 은근과 끈기로 이겨내자는 뜻이 노래에 스며있다 해마다 ‘독도의 날’(10월 25일)이면 이 노래가 자주 불린다 그래서 이 노래는 들을수록 우리들 가슴에 와 닿는다 제목에 우리 민족의 한과 숨결이 서려있는 ‘아리랑’이 들어있는데다 멜로디와 노랫말 또한 뭔가를 생각하게 만든다 1절, 2절 후렴대목에 되풀이해서 나오는 ‘아리랑’ 구절과 가락이 민족혼을 말해준다 노래취입과 함께 독도에 나무심기도 이 노래는 1989년 10월 한돌이 낸 타래모음음반(제목 ‘독도야 간밤에 잘 잤느냐?’)에 처음 실렸다 1982년 가수 신형원이 부른 노래 ‘불씨’로 작곡가로 데뷔한 뒤 7년 만에 독집앨범을 선보인 것이다 그러나 한돌의 노래는 잘 알려지지 않아 묻혀버렸다 이듬해(1990년) 가수 서유석이 11집 음반에 리메이크해 실으면서 많이 알려져 히트했다 ‘홀로 아리랑’은 북한에도 잘 알려진 가요다 한돌이 이 노래를 만들고 부를 때만 해도 독도는 나무가 없는 바위섬이었다 지금은 나무가 곳곳에 숲을 이뤄 아름다운 섬으로 바뀌었다 한돌은 1989년 4월 2일 소설가 최성각 씨, 사진작가 김정명씨 등과 울릉도청년들이 중심이 돼 만든 ‘푸른 독도 가꾸기 모임’에 가입했다 그는 해마다 독도에서 나무를 심는 등 독도지키기운동에 앞장섰다 독도를 20차례 가까이 찾은 한돌은 ‘독도에 비가 내리면’ 노래도 만들었다 1983년에 만들어져 선보인 개그맨출신가수 정광태의 ‘독도는 우리 땅’ 노래와 함께 독도지키기에 한 몫 하고 있다 1980~1990년대 언더그라운드가요계 풍미 음악인 한돌이 걸어온 삶은 평범치 않다 그는 ‘유리벽’, ‘불씨’, ‘못 생긴 얼굴’, ‘터’, ‘개똥벌레’, ‘홀로 아리랑’, ‘여울목’ 등의 노래로 1980~1990년대 언더그라운드음악계를 풍미했다 여러 장르의 음악 유혹에 흔들리지 않고 포크 쪽에 전념하려는 의지로 자신의 이름을 작은 돌 역할이라도 하자는 뜻을 지닌 순우리말 ‘한돌’로 바꿨다 한돌은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노랫말로 겨레사랑과 외롭 가난한 이들의 이야기를 악보에 담아 고달픈 민초들의 마음을 달랬다 그가 만든 노래들은 순우리말로 쓴 게 많다 알기 쉬운 가사, 고즈넉하면서도 푸근한 멜로디로 사람들 마음을 이끈다 우리의 정서를 어루만져준 그의 노래는 세월의 공백에서도 때 묻지 않았다는 평이다 그때부터 노래취입보다 작사·작곡에 힘써 민중가요 쪽 사람들로부터 실력을 인정받았다 특히 △신형원의 ‘불씨’, ‘유리벽’(1982년 프로젝트앨범 ‘웃기는 노래와 웃기지 않는 노래’에 수록) △한영애의 데뷔곡 ‘여울목’, 히트곡 ‘조율’ △서유석의 ‘홀로 아리랑’ 등이 뜨면서 대중적으로 친근한 음악가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