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등 켜는 의미 부처님 오신 날 석가탄신일 사월초파일 - 송파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천지신명 천상장군 #Shorts
#연등 #의미 #부처님오신날 #석가탄신일 #사월초파일 #송파점집 #송파점집추천 #잠실점집 #잠실점집추천 #점집추천 #점집후기 #점잘보는집 #살풀이굿 #재수굿 #진오귀굿 #천지신명 #천상장군 #Shorts 천지신명 천상장군 상담문의 : 010-9043-1588 상담위치 : 서울 송파구 삼전로4길 [촬영문의] 010-9768-1638 안녕하세요 “굿엔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 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민속신앙 선생님들의 무당 이야기와 국보신앙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항상 좋은 날 되세요!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사월 초파일:음력 4월 8일에개조(開祖)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탄생을 기념하는 불교행사 음력 4월 8일이며, 불교의 연중행사 가운데 가장 큰 명절이다 그러나 이 날은 불교인이든 아니든 오래 전부터 우리 민족이 함께 즐긴 민속명절로 전승되어 왔다 대체로 이 날은 연등행사(燃燈行事)와 관등(觀燈)놀이를 중심으로 한 갖가지 민속행사가 행해진다 연등행사의 경우, 연등을 하는 등을 만들 때에도 민속적인 취향에 따라 수박등·거북등·오리등·일월등·학등·배등·연화등·잉어등·항아리등·누각등·가마등·마늘등·화분등·방울등·만세등·태평등·병등·수복등 등을 만들어 연등에 곁들인 민속신앙의 의미를 더한층 가미시키고 있다 등을 다는 데에도 등대(燈臺)를 세워서 각종 깃발로 장식하고 휘황찬란한 연등을 하며, 강에는 연등을 실은 배를 띄워 온 누리를 연등 일색으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축제 분위기의 연등행사는 자연 많은 사람의 구경거리가 되었는데, 이를 관등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연등과 관등이 있는 곳에는 각종 민속놀이도 성행하게 된다 우선 형형색색의 등과 그 불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등놀이가 있다 이를 영등(影燈)놀이라고 하는데, 이 때의 영등 안에는 갈이틀을 만들어 놓고 종이에 개와 매를 데리고 말을 탄 사람이 호랑이·이리·사슴·노루 등을 사냥하는 모습을 그려서 그 갈이틀에 붙이게 된다 등이 바람에 흔들려 빙빙 돌게 되면 여러 가지 그림자가 비쳐 나온다 그리고 호화찬란하게 장식한 등대에 많이 달 때에는 10여 개의 등을, 적게 달 때에는 3개 정도의 등을 달았다 이와 같은 등대를 고려시대에는 사찰뿐만 아니라 관청이나 시장, 일반 민가에 이르기까지 모두 달게 되었으나, 조선시대에 와서는 사찰과 민가로 제한된 듯하고, 오늘날에는 일가일등운동(一家一燈運動)을 전개하고 있으나, 대개 사찰에서만 연등하고 있다 그리고 등을 다는 숫자도 과거에는 식구 수만큼 달았으나, 오늘날에는 한 등에 모든 식구의 이름을 써 붙이는 형식을 취하게 되었다 초파일행사의 경우 고려시대에는 관민(官民) 남녀노소가 모두 참여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민가에서 남녀노소 모두 참여하는 민속행사로 치러졌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불교 관계인들만의 행사로 제한되고 있다 재래의 사월초파일이 비단 불교적 의미만이 아닌 민속행사였다는 것은 그 날이면 즐기는 여러 가지 민속놀이에서 충분히 짐작되는 것이다 이 날이면 온 장안 사람들이 산으로 올라가서 등을 달아 놓은 광경을 구경하였다 이렇게 사람들이 모이면 관등의 즐거움과 더불어 각종 풍악을 울렸으며, 장안에는 사람의 바다를 이루고 불의 성을 만든다 한편, 이 날이면 아이들은 등대 밑에 석남(石楠) 잎을 붙인 송편과 검은콩, 미나리나물을 벌려 놓는데, 이는 석가탄신일에 간소한 음식물로 손님을 맞이했다가 즐기는 뜻의 놀이라고 한다 그리고 등대 밑에 자리를 깔고 느티떡과 소금에 볶은 콩을 먹으며, 동이에다 물을 담아 바가지를 엎어 놓은 채 돌아가면서 두드리는데, 이 놀이를 수부(물장구)라고 한다 이와 같은 민가의 놀이와 함께 사찰에서는 사월초파일을 기념하는 법회를 비롯하여, 신도들은 성불도(成佛圖)놀이와 탑돌이 등 불교적인 놀이를 행하였다 특히, 어린이날이 따로 없었던 때에는 이 날이 어린이날 구실을 하였다 초파일이 되면 절 앞에는 성대한 장이 섰는데, 대부분이 어린이용품이었다 아이들은 부모를 따라 절에 가서 예불을 올리고 돌아오는 길에 진기한 장난감을 얻어 들고 오는 즐거운 날이었다 오늘날 행해지고 있는 제등행렬은 이전의 관등놀이가 일제 암흑기에 없어진 것을 광복 후에 새롭게 시작한 행사이다 사월초파일은 석가모니가 이 세상에 와서 중생들에게 광명을 준 날이라는 뜻에서 일차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와 같은 의미가 민중의 구체적인 관심사와 결합하여 민중의 축제가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초파일에 행하는 연등행사에 대한 불교적 의미는 지혜를 밝힌다는 상징성이 담겨 있는 것이다 연등회:정월 대보름에 불을 켜고 부처에게 복을 비는 불교행사 국가행사 551년(진흥왕 12)에 팔관회(八關會)의 개설과 함께 국가적인 행사로 열리게 되었고, 특히 고려 때 성행하였다 불교에서는 불전(佛前)에 등을 밝히는 등공양(燈供養)을 향공양(香供養)과 더불어 중요시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불전에 등을 밝혀서 자신의 마음을 밝고 맑고 바르게 하여 불덕(佛德)을 찬양하고, 대자대비한 부처에게 귀의하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법화경』의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서는 등공양의 공덕이 무량하다고 지적되어 있으며, 『삼국유사』 권5의 감통편(感通篇)에도 불등에 관한 설화가 있다 이들은 모두가 등불을 밝히는 참된 의미를 밝히고 있다 등을 밝히는 것이 곧 연등이고, 연등을 보면서 마음을 밝히는 것을 간등(看燈) 또는 관등(觀燈)이라고 한다 『삼국사기』의 신라본기(新羅本紀)에는 관등행사가 매년 정월 15일에 있었다고 되어 있는데, 연례적으로 이 행사가 행하여졌을 것으로 보인다 『동국세시기』에는 정월을 등절(燈節)이라 하여 등을 밝히면서 밤을 세웠으며, 대보름에는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달맞이를 하면서 풍년과 흉년을 점치고 풍년을 빌었다고 한다 이러한 풍속은 불교적인 것이라기보다는 고대로부터 전해 온 풍년기원제의 성격을 띤 행사였다 또한, 『동국세시기』에는 2월 초에 제주도에서 있던 영신제(迎神祭)와 함께 연등에 관한 기록이 있다 연등의 시원은 우리 고대사회에서의 농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신라의 정월 15일 연등은 풍우신인 용신에 대한 시농기원제(始農祈願祭)인 용동제 및 농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천문태일성수제(天文太一星宿祭)가 불교 전래 후 불교의 등공양인 연등과 습합되어서 팔관회와 아울러 국가적인 행사로 거행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용신앙은 신라인에게 있어서는 농업신으로서만 신앙되어진 것이 아니라, 호국불교신앙의 초점이 되고 있다 그것은 문무왕이 왜병을 진압하고자 동해의 용이 되었다는 설화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신라의 연등은 사농(司農)과 호국호법으로서의 용신(龍神)에 대한 제사, 태일성제(太一星祭), 그 밖에 민족적 행사가 불교의 등공양과 습합된 종합적 가무제(歌舞祭)로 행하여졌으며, 그 행사는 호국신앙의 대본산(大本山)인 황룡사에서 거행되었다 고려시대에는 태조의 『훈요십조(訓要十條)』에 의거하여 연등회가 거국적인 행사로서 성대하게 시행되었다 고려 초기에는 정월 15일에 연등이 있었으며, 정월 15일의 연등이 987년(성종 6) 10월에 정회(停會)되었다가 현종 때 2월 15일로 복설해서 그 뒤 고려멸망 때까지 열렸다 이 행사에 관한 기록은 『고려사』에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현종 이후의 연등설화에 관한 기록은 104번이지만 2월 연등으로 정하였던 연등회가 반드시 그 날짜를 지켜서 거행되지는 않았다 1105년(숙종 10)에는 정월에 연등을 행하였고, 의종 때의 연등회는 20회 모두 정월에 열렸다 그리고 1105년의 연등에 대하여 『고려사』에는 다른 연등회 기사와는 달리 “천지신명(天地神明)을 모셨다 ”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태조의 정신을 의식적으로 추종함을 의미하고 있다 의종 당시의 경우에는 인종의 기월(忌月)을 피하기 위하여 정월 연등을 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명종 때에도 15회 연등행사를 거행하였는데 대부분이 2월에 설회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고려사』에 의하면 인종의 기월(忌月)이 정월이기 때문에 2월로 하자는 청에 의하여 그렇게 된 것임을 밝히고 있다 이 밖에도 연등은 망일(望日)에 여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그날이 한식(寒食)인 경우에는 15일 미리 앞당겨서 열기도 하였다 그리고 정기적인 연등회외에도 특설 연등회가 수시로 있었음을 볼 수 있다 1067년(문종 21)에 흥왕사(興王寺)가 낙성되었을 때 축제와 함께 5일 밤낮을 계속한 연등회가 성대히 행하여졌다 또한, 1073년 2월에는 봉은사(奉恩寺)에서 불상을 새로 조성하고 경찬(慶讚)을 위한 연등회가 열려 관등과 주연이 밤늦도록 베풀어졌음을 볼 수 있다 이 밖에도 문종 때에는 경령전(景靈殿)·중광전(重光殿)에서 성대한 연등회가 있었고, 선종이 8월부터 11월 초순까지 서경(西京)에 머물렀던 기간 동안 서경의 흥국사에서 연등도량이 열렸고 거리에도 등을 달았다 1102년(숙종 7) 9월에도 궁궐에서 신호사(神護寺)까지의 길에 수만 개의 등을 달았고, 1296년(충렬왕 22) 5월에는 공주가 신효사에 가서 연등을 하였는데, 주옥(珠玉)으로 등을 만들어 매우 화려하였다고 한다 1314년(충숙왕 1) 2월에는 묘련사(妙蓮寺)에서, 3월에는 왕륜사(王輪寺)에서, 1319년 2월에는 강안전(康安殿)에서 공주가 연등하였고, 1324년에는 상왕이 정경궁에서 5일 동안 점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