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마을구경] 풍천면소재지 마을 도양리 | 폐교 풍천중=안동수학체험센터 | 도양교회 | 도양성당 등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 ○ 도양리 본래 풍산면 지역으로 양지쪽이 되므로 되양골 또는 도양골이라 하였는데 중종(中宗) 때 관찰사(觀察使) 김연(金緣)이 살면서 도왕동으로 고쳤으며 고종 32년 지방관제 개정에 의해 안동군 풍서면에 편입되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의하여 자방동, 상좌동, 구담동의 각 일부와 예천군 위라면의 산합동 일부를 병합하여 도양동으로 다시 바뀌었다 그후 1934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풍천면에 편입되었으며 1995년 안동시 풍천면으로 바뀌었다 행정구역은 도양 1리와 2리로 나누어져 있으며 비교적 큰 동리이다 자연마을의 현황은 1리에 상좌섬, 샛터, 재피골, 자방실, 삼거리 등이 있고 2리에는 원도양, 마봉, 덕고개, 움골, 참산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댕골·원도양(元道陽) 도양의 여러 마을 중에서 먼저 생겼다 하여 원도양(元道陽)이라 불렀으며 도양골을 줄여서 댕골이라 한다 ▶ 덕고개·덕현(德峴) 덕고개 밑에 있는 마을로 옛날 산적(山賊)들이 지나면서 이 마을에 많은 덕을 보인 곳이라 하여 덕고개라 부르게 되었다 ▶ 참산내기·참샘내기·한천(寒泉) 낙동강(洛東江)의 홍수를 피하기 위하여 이 곳에 마을을 이루었으며, 마을 앞 들 복판에 항상 찬물이 나는 샘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 말봉·말산·마봉(馬峯) 참샘내기 서쪽에 있는 마을로 마을 뒷산이 말머리와 같다 하여 마봉(馬峯)이라 일컫게 되었다 한다 ▶ 자방실·자방골·자방(自芳)·자방동(自芳洞) 산세가 방 모양으로 생겼다 하여 자방실이라 불려지고 있으며 현재 50가구에 220여 명이 살고 있는데 근년에 와서 수리 시설이 잘 되어 영농으로 풍족한 생활을 하고 있다 ▶ 자피골 고려 시대에 정씨(鄭氏)가 이 마을에 처음 정착하여 개척하였는데 그 당시 자피나무 산초나무의 사투리가 무성하여 자피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 후 임씨(任氏)·임씨(林氏)가 들어오면서 자피나무를 많이 베어 없어졌다 한다 ▶ 상좌섬·상좌도(上佐島)·상좌동(上佐洞) 갈전리의 면소골과 경계하고 있다 옛날에는 낙동강(洛東江)이 마을 앞을 돌아 흘러서 자연적으로 섬이 되어 고립된 지역이었다 따라서 고려말(高麗末)에는 죄인(罪人)을 귀양살이 시켰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적으로 섬이 생겼다 하여 상좌도(上佐島)라 한데서 생긴 이름이라 한다 풍천면사무소와 지서, 우체국 등의 관공서가 이 마을에 있다 ▶ 새터·신기(新基) 자피골·자방실 사이에 위치하였으며 해방 후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라 부른다 (지명유래) #도양교회 #풍천면 #도양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