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란다정원  호야수태분갈이  호야분갈이   베란다호야분갈이   호야분갈이베란다정원   베란다정원호야분갈이 호야분갈이  베란다정원

베란다정원 호야수태분갈이 호야분갈이 베란다호야분갈이 호야분갈이베란다정원 베란다정원호야분갈이 호야분갈이 베란다정원

난초 이야기 우리는 승진을 하거나 영전을 하였을 때 난초를 보낸다 난 보다 더 아름답고 귀하고 비싼 물건들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난초를 보낸다 집에서 난초를 기르면 상서롭지 않은 일이 발생을 막아주고 밤에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하여 준다 예로부터 난초 그림을 집안에 걸어두는 풍습이 전해져 내려오는데 이것은 벽사를 염원하는 것이라 한다 귀신 사악한 것을 쫏음 난초에 대한 이러한 생각은 중국의 유교문화에 의한 정신적인 가치에서 나왔다 이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 등 유교문화권인 나라들의 공통적인 가치이다 지초와 난초는 깊은 숲에서 자라지만 찾는 사람이 없더라도 향기를 내어주며 군자는 도리를 닦고 덕을 세워야 하며 곤궁하다고 해서 절개를 바꾸지 않는다 또한 군자와 함께 있으면 자신도 모르게 착해져 있지만 스스로는 그 변화를 알다 못한다고 한다 이는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에 들어가서 오랫동안 머물면 그 향기를 알지 못하지만 이미 난향은 자신의 몸속에 들어온 것과 같은 이치라 한다 그래서 선비들은 난초를 군자와 동일하게 여겼다 한다 난초는 예로부터 사군자의 하나로서 시인 묵객의 사랑을 받아왔으며 여러 시문에서도 은군자 선비 은자에 비교하여 그 인격체를 상징하였다 또한 한시에서는 난조 난질 난궁 등의 시어로 사용되어 왔으며 아름다움이나 미인을 상징할 때 사용되어 왔다 예 로부터 선조들이 귀하게 여긴 꽃이 사군자인 매 난 국 죽이다 난초는 그중에서도 이와 같이 높은 뜻을 지니고 있기에 승진이나 영전에 보내는 축하의 꽃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승진이나 영전을 한 사람들이 신분상승에 따라 혹시 따라올지도 모를 액운을 쫓아내고 주위의 환경이 어떻게 바뀌더라도 그 맡은 자리에서 고고한 향기를 풍기면서 주위 사람들을 덕화 시키기를 바란다는 것이 난을 선물하는 이의 마음이다 난을 선물 받은 사람도 이와 같은 뜻을 명심하여 감사와 겸손의 마음으로 축하를 받아들이고 스스로를 경계하면서 더 큰 발전을 다짐하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베란다정원식물재배 #베란다식물재배 #베란다식물재배 #베란다식물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