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에 다시 잡힌 발목…전기요금 상승 어디까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krtube.net/image/XaSHRB0kHKo.webp)
고유가에 다시 잡힌 발목…전기요금 상승 어디까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고유가에 다시 잡힌 발목…전기요금 상승 어디까지 [탐사보도 뉴스프리즘] [오프닝: 이광빈 기자] 안녕하십니까. 이광빈입니다. 우리 사회의 문제점들을 진단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모색하는 뉴스프리즘 시작합니다. 이번주 뉴스프리즘이 풀어갈 이슈, 함께 보시겠습니다. [영상구성] [이광빈 기자] 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고유가가 장기화될 거라는 우려가 짙어지고 있는데요. 금융시장 불안이 커지고, 경기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는데요. 에너지 가격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기름값이 오르면서 전기요금과 교툥요금에도 영향을 미칠 텐데요. 물가 우려가 깊어지면서 이미 사회 곳곳에서 긴 한숨 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 불안으로 인한 상황, 먼저 나경렬 기자가 보도합니다. [불황에 오르기만 하는 기름값·교통비…서민 살림 '팍팍' / 나경렬 기자] [기자] 30년 가까이 화물 트럭을 운전해 온 김영진씨. 연일 치솟는 기름값이 두렵기만 합니다. 좋지 않은 세계 경제 사정에 운반할 화물량은 줄었는데 유류비는 전보다 더 많이 나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영진 / 화물차주] "(기름값이) 조금만 더 오르면 운전 못하는 상황이 됩니다. 어떤 차들은 적자가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이 사람들이 현찰 쥐고 차 산 사람이 아니라 할부금에, 거의 아사 직전이죠." 화물기사들의 최저임금이라 불리는 안전운임제는 8개월 전 일몰돼 이들을 보호할 장치도 없습니다. 하지만 기름값은 무섭게 뛰고만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산유국들의 감산 연장 결정에 국제 유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탓이 큰데, 국내 휘발유 경유 가격은 지난 7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른 건 기름값뿐만이 아닙니다. 시민들의 발이 되어주는 버스요금이 큰 폭으로 올랐는데 다음달엔 지하철 요금도 인상됩니다. 서울 시내버스 요금은 25% 올랐고, 광역버스의 경우 인상률이 30%에 달합니다. 1,250원이던 지하철 요금도 다음달 1,400원이 되고 내년엔 150원 또 오릅니다. [김지윤 / 경기도 고양시] "월급은 그대로인데 교통비가 오르니까 아무래도 출퇴근할 때 맨날 이용을 해야 하는 게 대중교통이잖아요. 그래서 조금 부담되는 것 같긴 합니다." 오를 대로 오른 물가를 가장 먼저 체감하는 건 자영업자들입니다. 재룟값에 전기, 가스요금 등 오르지 않은 걸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위축된 경기에 손님들의 지갑은 쉽게 열리지 않습니다. [한상기 / 식당 운영] "전기세, 도시가스, 휘발윳값 할 것 없이 270(만원) 나오던 게 300(만원)이 나오니까 전기세가. 임대료 해내가려면 장사가 돼야 하는데 참 장사가 어렵죠." [ A씨 / 식당 운영] "한두달 사이에 더 안 좋아졌어요. 돈을 안 쓰는 걸 확실히 느껴. 왜냐면 쓸 돈이 많으니까. 먹는 것부터 줄이는지…" 경기는 침체되고 물가는 오르는, 반갑지 않은 경제 상황 속에서 서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불황 #인플레이션 #기름값 [이광빈 기자] 정부와 정치권 모두 에너지 요금을 올리는 데 부담스러워 하는 모습입니다. 정부는 유류세 인하를 연장하고, 전기요금 인상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조한대 기자입니다. [겨울철·선거 앞두고 부담…에너지값 인상에 신중/ 조한대 기자] [기자] 주요 산유국들이 연말까지 원유 생산을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돌파할 것이란 전망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유류비 상승과 이에 영향을 받는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해졌습니다. 하지만 무턱대고 에너지 요금을 인상하기엔 국내 상황이 녹록지 않습니다. 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다시 3%대로 뛰어올랐고, 조만간 에너지 수요가 늘어나는 겨울철을 앞두고 있어 서민 생활에 직격탄을 줄 수 있어섭니다. 내년 4월 총선도 생각해야 하는 정부와 정치권 모두 인상 얘기를 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인 겁니다. 이에 정부는 올해 59조원 가량의 세수 감소가 예상되지만, 일단 유류...▣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https://goo.gl/VuCJMi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 http://www.yonhapnews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