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통일교, “100억 엔 피해 보상 공탁”... 해산명령 전망은? (이현지) ㅣCTS뉴스
앵커 : 지난 7일 일본 통일교 측이 기자회견을 열고, 고액 헌금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했습니다. 최대 100억 엔, 우리 돈 약 871억 원을 피해자 보상을 위해 공탁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앵커 : 통일교 측의 이번 사과를 두고, 일본 정부가 청구한 해산명령에 대한 선제적 대응 목적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현지 기자입니다. 일본 통일교 다카나 도미히로(田中富広) 회장이 지난 7일 도쿄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자와 국민에게 사죄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지난달 13일 일본 정부가 통일교에 종교법인 해산명령을 청구한 지 25일만입니다. 다나카 도미히로 회장 / 일본 통일교 지금까지 괴로운 경험을 하게 해드렸던 여러분들에게 솔직하게 사과 해드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카나 회장은 최고 100억 엔(약 900억 원) 규모의 특별 공탁금을 정부에 내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관련 현행법은 없지만, 특별 조치로서 국가가 공탁금 제도를 마련해 준다면 자금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해당 공탁 제도는 법원이 통일교에 해산 명령을 결정할 경우 정부가 공탁금을 피해자 배상에 사용하고, 통일교가 승소할 경우 돌려받는단 내용을 골자로 합니다. 이번 공탁금 제안은 ‘통일교가 자산을 빼돌릴 수 있다’는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일본 야당에서는 피해자 배상을 위한 ‘통일교 재산 보전 특별조치법안’을 지난달 중의원(하원)에 제출했고, 국내 이단 전문가들은 일본 통일교 자금 상당수가 한국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제보를 입수해 촉각을 곤두세운 상태입니다. INT 탁지일 교수 / 부산장신대 실질적으로 지금 통일교 신도들 중에 다수의 통일 교인들이 해외로 반출될 수 있는 한도액을 가지고 지금 한국 쪽으로 자금 이동을 하고 있다는 제보들이 지금 들어오고 있거든요 현재 진행 중인 통일교 해산명령의 향방에도 귀추가 주목됩니다. 아사히신문 등 현지 언론에서는 “이번 다나카 회장의 사과와 공탁금을 내겠다는 제안이 해산명령 심리에서 유리한 여론을 만들겠다는 의도 보인다”고 해석했습니다. 애초에 일본 정부의 해산명령 청구 자체도 “당장의 부정적 여론을 불식하려는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실정이기 때문입니다. INT 나카니시 히로코 연구원 / 오사카 공립대학 총격 사건 이후 차례로 밝혀진 정치가와 통일교 유착의 뿌리가 깊거든요 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기시다 내각 자민당에 대한 불만이 강해지기 때문에 해산 청구의 방향으로 향했다고 생각합니다 현지 언론은 또 “이번 통일교 기자회견은 신자 이탈을 막는 데 목적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INT 탁지일 교수 / 부산장신대 내부적으로 아베 신조 관련된 위기를 넘어서지 않으면 후계 다툼에서도 불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라는 내부적인 셈법이 작동된 것으로 보여지고요 일본 정부가 추산한 통일교 관련 피해 규모는 우리 돈 약 1,800억 원. 피해자 수는 약 1,550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CTS 뉴스 이현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