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송도국제신도시  하늘에서 본 근황 2023년 1월, 松島國際都市, Songdo International City

intro #송도국제신도시 하늘에서 본 근황 2023년 1월, 松島國際都市, Songdo International City

#송도 하늘에서 본 근황 2023년 1월, Songdo city 영상 사용문의 ' uranus29@naver com -------------------------------------------------------------------------------------- #송도국제도시 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일원에 조성 중인 경제자유구역이다 [2][3] 총 11개의 공구로 나눠 개발될 예정이며, 이 중 2020년 10월 현재 1, 2, 3, 4, 5, 7공구가 개발이 거의 완료된 상태이고 6, 8, 9, 10공구는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이다 마지막 개발 예정지인 11공구는 매립 마무리 작업이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었던 포스코타워-송도(305m,지상68층)와 컨벤션 시설인 송도컨벤시아를 중심으로 펼쳐진 1공구와 3공구의 국제업무지구(IBD)는 한국의 포스코건설과 미국 게일 인터내셔널 사의 컨소시엄 법인인 NSIC(유)가 개발하며, 삼성 바이오로직스와 함께 연세대 및 뉴욕 주립대 등으로 구성된 글로벌 캠퍼스가 입주해 있는 5공구와 7공구의 스마트밸리는 가천 길재단과 미국의 IBM사, 그리고 인천도시개발공사가 합작 설립한 컨소시엄 법인인 BRC(주)가 개발한다 그리고 6공구와 8공구는 현대건설 및 삼성물산, 그리고 미국의 포트만홀딩스 등이 참여한 송도랜드마크시티유한회사(SLC)가 개발 주체이다 이 외의 공구인 2공구와 4공구는 가장 먼저 개발된 곳으로 인천도시개발공사가 주체가 되어 개발했으며, 인천신항이 위치한 10공구와 크루즈 터미널 및 국제 터미널이 들어서고 있는 9공구는 해양항만청이 개발을 주도한다 11공구는 아직 별도의 개발 컨소시엄이 없는 상태 [4] 초기에는 NSIC(유)[5]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설계사들 중 하나인 KPF[6], HOK[7], SMDP[8] 를 비롯하여 다니엘 리베스킨트[9] 같은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설계한 조감도를 수정없이 바로 재현해 싱가포르 같은 느낌이었다 전체 면적은 약 53 4㎢로서 경기도 부천시와 거의 동일한 크기이며, 계획인구는 내국인 22만명, 외국인 8만명을 합해 약 30만 명이 될 예정이다 인구 증가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2021년 기준 19만명을 돌파하였다 부천시 면적과 맞먹을 만큼 넓은 면적에 비해 인구가 많지는 않을 예정인데, 업무지구나 교육시설, 연구시설, 항만시설 등이 있고 녹지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송도국제도시의 계획은 1990년대에 만들어졌을 것 같지만, 입안 계획은 1980년대 초반 형성되었다고 한다 -------------------------- flight 2023,1 mavic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