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흘에 관한 한자어/사자성어 10개
사흘에 관한 한자어 및 사자성어를 자세하게 풀이해 드립니다. [사흘에 관한 한자/한자어/사자성어 목록: 10개] 1) 作心三日(작심삼일): 단단히 먹은 마음이 사흘을 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결심이 굳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三日點考(삼일점고): 수령(守令)이 부임한 뒤 사흘 되는 날에 관속을 점고하던 일. 3) 和氏之璧(화씨지벽):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4) 生三死七(생삼사칠): 사람이 태어난 뒤 사흘 동안과 죽은 뒤 이레 동안이라는 뜻으로, 부정하다고 꺼리는 기간을 이르는 말. 5) 春無三日晴(춘무삼일청): 봄에는 사흘 맑은 날이 없다는 뜻으로, (1) 봄에 꽃필 무렵이면 비가 많이 내린다는 말 (2) 전(傳)하여 좋은 일에는 어려움도 많이 따름을 이르는 말. 6) 三日遊街(삼일유가):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험관과 선배 급제자와 친척을 방문하던 일. 7) 高麗公事三日(고려공사삼일): 고려 때의 공적인 일은 삼 일밖에 안 갔다는 뜻으로, 오래 참고 견디지 못하고 자주 변동함. 고려 무신정권 때의 고사. 8) 天無三日晴(천무삼일청): 좋은 날씨는 사흘씩 계속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무사한 상태는 오래 계속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9) 三寒四溫(삼한사온): 한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의 동부, 북부에서 나타나는 겨울 기온의 변화 현상. 7일을 주기로 사흘 동안 춥고 나흘 동안 따뜻하다. 10) 三日天下(삼일천하): (1)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Credits] Contents: https://wordrow.kr/한자/사흘에-관한-한자-한자성어-... Background music: Bensound https://www.bensound.com/royalty-free...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공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