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김영랑 詩  정태준 作曲)  솔뫼 노래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김영랑 詩 정태준 作曲) 솔뫼 노래

악보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김 영 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같이 풀 아래 웃음 짓는 샘물 같이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시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 같이 시의 가슴을 젓는 물결 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싶다 김영랑(金永郎) (1903~1950) 본관 김해金海 본명 김윤식(金允植) 전라남도 강진(康津) 출신 1915년 강진보통학교를 졸업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영어를 공부하고 난 다음 1917년 휘문의숙에 입학, 이때부터 문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휘문의숙 3학년 때인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 강진에서 거사하려다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6개월간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학원 중학부를 거쳐 같은 학원 영문학과에 진학하였다 이 무렵 독립투사 박렬, 시인 박용철과도 친교를 맺었다 시작활동은 박용철·정지용·이하윤 등과 시문학동인을 결성하여 1930년 3월에 창간된 (시문학)에 시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언덕에 바로 누워) 등 6편과 (사행소곡칠수)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의 시세계는 전기와 후기로 크게 구분된다 초기시는 1935년 박용철에 의하여 발간된 『영랑시집』 초판의 수록시편들이 해당되는데, 같은 시문학동인인 정지용 시의 감각적 기교와 더불어 그 시대 한국 순수시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1940년을 전후하여 민족항일기 말기에 발표된 (거문고) (독(毒)을 차고) (망각) (묘비명) 등 일련의 후기 시에서는 그 형태적인 변모와 함께 인생에 대한 깊은 회의와 ‘죽음’의 의식이 나타나 있다 광복 이후에 발표된 (바다로 가자) (천리를 올라온다) 등에서는 적극적인 사회참여의 의욕을 보여주고 있는데, 민족항일기에서의 제한된 공간의식과 강박관념에서 나온 자학적 충동인 회의와 죽음의식을 떨쳐버리고, 새나라 건설의 대열에 참여하려는 의욕으로 충만된 것이 광복 후의 시편들에 나타난 주제의식이다 주요저서로는 (영랑시집) 외에, 1949년 중앙문화사에서 간행된 (영랑시선)이 있고, 1981년 문학세계사에서 그의 시와 산문을 모은 (모란이 피기까지는)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