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조'부터 언론사 단전까지...남은 수사 쟁점은? / YTN](https://krtube.net/image/a9qAo7kva5c.webp)
'체포조'부터 언론사 단전까지...남은 수사 쟁점은? / YTN
검찰, ’주요인사 체포조 활동’ 규명에 주력 "경찰이 방첩사 등과 함께 정치인 체포 시도" 경찰 "인력 파견만 요청…체포 임무는 몰랐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을 기소한 뒤에도 검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계엄 관련 수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요인사 체포조 활동부터 국무위원 개입 의혹까지, 남은 쟁점들을 김철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검찰이 더 들여다보고 있는 대표적 혐의는 군과 경찰의 '주요 인사 체포조 활동'입니다. 국군 방첩사령부가 경찰, 국방부 조사본부와 협력해 국회의장과 여야 대표 등 주요인사 체포를 시도했다는 게 골자입니다. 경찰과 조사본부 관계자들은 인력 파견을 요청받았을 뿐 체포 임무는 몰랐다는 입장이지만, 검찰은 계엄 당시, YTN 등 뉴스를 통해 국회의원 체포 가능성이 생중계됐던 만큼, 사전 인식 가능성이 큰 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검찰의 칼끝은 경찰 수뇌부도 직접 겨누고 있습니다. 지난달 19일, 국가수사본부 등을 압수수색한 뒤에는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 휴대전화도 발 빠르게 압수했습니다. 다만, 우 본부장이 '압수수색이 위법하다'며 준항고를 제기했고, [우종수 /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 (지난달 23일) : 통상의 영장과는 달랐고요. 또 제가 참고인 신분이라는 이유로 영장 사본도 제공 받지 못했습니다.] 최근 법원이 이를 기각하자 재항고까지 내, 수사는 숨 고르기에 들어간 상태입니다. 대통령 사건을 송부한 공수처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의 '언론사 단전·단수' 의혹을 추가로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소방청 관계자들을 불러 실제 기능 마비 시도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하기도 했습니다. 이 밖에도 계엄 전후 과정에 참여한 인사들이 '국헌 문란 목적의 활동', 즉 내란에 얼마나 가담했는지가 이후 수사의 초점이 될 전망입니다. YTN 김철희입니다. 영상편집 : 최연호 YTN 김철희 ([email protected])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email protected]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501...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재배포금지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