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부진 ‘보행 안전도우미’ “지원 확대해야” / KBS 2023.05.05.
[앵커] 최근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 사고가 잇따르면서 초등학생들의 등하굣길을 동행하는 '보행 안전 도우미 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치단체마다 추진 의지가 제각각이어서 사업 확대는 지지부진합니다. 박준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형광색 조끼를 입은 도우미가 초등학생들과 등굣길을 걸어갑니다. 어린이 등하교를 도와주는 보행안전도우미로, 대구시교육청이 올해 들어 14개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현숙이/보행안전도우미 : "안전한 게 좋은 거 같고. 또 같이 모르는 친구들도 알아나가는 게 좋은 점이 많이 있는 거 같고. 서로서로 대화도 많이 하는 거 같고..."] 이 학교에선 두 명의 도우미가 10명의 아이들과 함께 보행 안전을 살피며 등하교하고 있습니다. 학부모 호응이 좋다보니, 북구청은 아예 자체 예산으로 2010년부터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대구 북구의 스쿨존 사고는 11건에서 2021년 3건으로 크게 줄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구 군에선 교육청 사업이라는 이유 등으로 추진에 소극적인 상황, 스쿨존이 많은 달서구는 교육청이 시행하는 학교 3곳이 전부고, 동구는 1곳도 없습니다. 중구에서는 관련 조례안이 두 차례나 부결됐습니다. [배태숙/중구의회 부의장 : "이게(보행안전도우미) 교육청에서 기존에 하고 있는 사업이라서 우리 구에서도 직접 하지 않아도 지원에 대해서는 여러 부분 할 수 있지만, 굳이 조례안으로 만들어서까지..."] 하지만 사고 예방 효과가 크고, 학교 밖 도로에서 이뤄지는 사업인 만큼 자치단체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칠구/대구시교육청 안전총괄과장 : "17개 기관이 연합해서 교통안전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그 협의체에서 지자체라든가 경찰서 등과 협의해서 이런 부분이 지자체차원에서 협력해서 확대될 수 있도록..."] 어린이 통학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지자체와 교육청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준우입니다. 촬영기자:백재민/CG:이보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