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엔과 소통 정례화...노림수는? / YTN

北, 유엔과 소통 정례화...노림수는? / YTN

■ 신범철 / 국립외교원 교수, 정영태 / 동양대 통일군사연구소장 [앵커] 북한이 UN과 의사소통을 정례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UN 사무차장과의 합의 내용을 공개했는데요. 과연 북한이 노리는 것은 무엇일까요?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그리고 정영태 동양대 통일군사연구소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어서 오십시오. 제프리 펠트먼 UN사무차장, 5일간의 북한 방문을 모두 마쳤습니다. UN사무차장이 북한을 방문한 이유는 무엇인지부터 알아봐야 될 것 같은데요. 왜 방문을 했을까요? [인터뷰]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이 방문을 수용한 그 의도를 우리가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이번 경우는 이제까지 UN이 여러 차례 방문하고자 하는 의사를 전달은 했으나 북한이 사실 이걸 수용을 안 했거든요. 그러면 이번에 수용하게 된 것은 실제 북한이 미사일 핵 개발 완성이다 해놓고 이제 본격적으로 자기들이 대화의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 UN를 적극 활용한 것이 아닌가. 이번에 이런 식으로 수용을 해놓음으로써 앞으로 UN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 외교라든가 이런 것을 본격화하는 신호탄이라고 볼 수도 있겠죠. [앵커] 사실 북한도 UN 회원국이기는 합니다마는 사실 그동안 여러 가지 미사일 발사라든가 핵실험으로 여러 가지 제재를 쭉 받아오지 않았습니까? 그런 상황에서 방문한 건 뭐 때문에 그럴까요? [인터뷰] 그럼에도 불구하고 UN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주요 국제기구이기 때문에 북한 문제의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막기 위한 어떻게 보면 예방의 차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북한의 입장에서는 국제사회 고립을 탈피하기 위한 그런 어떻게 보면 자기 나름대로의 전술적 셈법이 있었을 거라고 생각되고요. UN 차원에서는 그런 북한의 의도는 이해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황이 한반도에서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막고 대화로 문제가 풀리기를 바라는 UN 본연의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만나서 대화를 앞으로도 다차원적으로 갖는 걸 합의한 것 같습니다. [앵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펠트먼 사무차장의 방문이 성과가 있었다 이렇게 평가를 하면서 UN와 다양한 대화 채널을 열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북한이 UN과 대화를 정례화한 것. 물론 앞서 UN 측에서도 필요가 있었겠습니다마는 북한 측에서도 어떤 필요 사항...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7121...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