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를 켜야 복과 재물을 얻는 사람의 태어난 달과 날 - 대전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명화당 처녀보살
#초를_켜야 #복과_재물을_얻는_사람의_태어난_달과_날 #점잘보는집 #점잘보는곳 #근처점집 #점집이야기 #점집추천 #점집후기 #대전점집 #대전점집추천 #명화당 #처녀보살 명화당 처녀보살 [상담번호] 010-6376-7386 [상담위치] 대전시 중구 문화로 [굿엔트]촬영문의 010.9768.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 @goodent [굿엔트]네이버 https://blog.naver.com/goodent1638 [굿엔트]페이스북 / goodent1638 [굿엔트]인스타그램 / goodent1638 [굿엔트]트위터 / goodent6 [굿엔트]카카오스토리 https://story.kakao.com/goodent1638 [굿엔트]스토리채널 https://ch.kakao.com/channels/@gooden...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라고도 한다. 불교의 경우 기도는 '눈을 안으로 돌이키는 노력', 즉 내 욕심과 고집을 버리고 다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해 깨닫겠다는 원을 세우고 이를 성취하려는 노력의 행위이다. 기도는 신 또는 거룩히 여기는 대상에게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인간의 행위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스스로가 가야 할 길을 구하거나, 도움을 구하거나, 죄를 고백하거나,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목적을 위해 신성하게, 영이 가득한 말을 연속적으로 하는 형태를 띠나, 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표현하는 행동을 통틀어서 '기도'로 볼 수 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기도하는 사람은 독백을 하거나, 말없이 수행하는 묵도의 형태를 띤다. 또한 말뿐만 아니라, 눈을 감거나, 합장, 엎드리기, 또는 일정 구획을 걷는 등의 신체적인 행위 또는 자세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기도는 개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여럿이서 함께 행하는 경우도 있다. 기도에 쓰이는 말은 찬송, 주문, 또는 기타 자발적인 발언의 형태를 취한다. 기도의 의식은 이념이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있으며, 종교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 가운데 하나이다. 단,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명절 혹은 제사 때 조상을 기리거나, 천지신명 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유성우를 보고 소원을 빌거나, 애니미즘, 막연한 대상에게 취하는 감사 등의 행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기도' 또는 '빎'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며, 예컨대, 무엇인가에의 '빎' 또는 기도는 보다 근원적인 욕구에 근거한 인간의 보편적인 활동 양식으로 볼 수도 있으며 그 대상, 때, 장소, 개인의 사상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수 있다. 복 삶에서 누리는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행운.개설복이 ‘운수’나 ‘행운’과 관련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는 것은 복이 인간의 힘을 초월한 천운(天運)에 의해서 저절로 돌아가는 기수(氣數)로 이해되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한편으로 복은 ‘아주 좋다’거나 ‘오붓하다’는 말에서 풍기고 있는 것처럼 필요한 것이 허실(虛失) 없이 두루 넉넉하게 갖추어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말로 이해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복이란 한자는 원래 ‘시(示)’와 ‘복畐’의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시’는 하늘[天]이 사람에게 내려서 나타낸다는 신의(神意)의 상형문자이고, ‘복’은 복부가 불러 오른 단지의 상형문자라 한다. ‘복’의 한자 어원도 역시 복의 뜻이 가지는 두 함축, 곧 사람의 힘을 초월한 운수라는 뜻과 오붓하고 넉넉하다는 뜻의 함축을 풀이해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아주 좋은 운수’가 무엇이며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이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지는 사람에 따라, 시대에 따라, 혹은 사회나 문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풀이가 나올 수 있다. 분명한 것은 다만 복이란 사람의 삶에 관련된 선악·행복·불행의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고대에는 장수를 누림(壽), 가멸함(富), 건강하고 마음 편안함(康寧), 심성의 후덕함(攸好德), 임종을 성취함(考終命)을 다섯 가지 복(五福)으로 보았다(書經 洪範九疇). 그런가 하면 장수함(壽)·가멸함(富)·귀함(貴)을 복이라 이르기도 하였다(韓非子). 한편 우리나라의 속설에는 아내를 잘 만나는 것도 복이요, 이가 튼튼한 것도 복이라 일컫고 있다. 이처럼 복의 개념은 그 외연적(外延的) 의미도 일정하지가 않고 내포적(內包的) 의미도 분명하지만은 않으나, 한국사람들은 스스로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든 복을 빌면서 살아왔고 또 살아가고 있다. 비록 한국사람들이 실제로 복을 받으며 태어나서 복을 누리며 살고 간다고는 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은 복을 비는 가운데 태어나서 복을 비는 마음속에서 자라나 복을 비는 뭇 상징 속에 둘러싸여 복을 빌며 살다가 다시 복을 비는 마음속에서 죽어간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복은 한국인의 삶을 그 밑바닥에서 움직이고 있는 가장 끈질기고 가장 보편적인 동기이다. 그런데 복은 우리들의 일상생활과 의식에 너무나도 밀착되어 있음으로 해서 거리를 두고 대상화해서 인식하기는 어려웠고, 지금까지 별로 인식하려 하지도 않았던 것이다. 가까이 있기 때문에 보지 못하고 언제나 더불어 있기 때문에 잊어버리고 있는 것이 복을 비는 마음이다. 그러나 조금만 주의해서 되돌아보면 우리들의 일상적인 언어생활에, 그리고 우리들의 가까운 의식주 생활에 얼마나 많이 복을 비는 말과 그를 조형화한 상징들이 산재하고 있는지 쉽게 깨닫게 된다. 말의 쓰임새낱말로서의 복은 ‘복이 있다.’, ‘복이 찾아온다.’, ‘복이 달아난다.’의 경우처럼 주어로서도 쓰인다. 하지만 그보다는 ‘복을 받는다.’, ‘복을 누린다.’, ‘복을 타고난다.’, ‘복을 심는다.’, ‘복을 기른다.’, ‘복을 아낀다.’ 등 목적어로서 쓰이는 경우가 더욱 흔하게 눈에 띈다. 그밖에도 복은 ‘복스럽게 생겼다.’, ‘복이 많게 보이더라.’ 등과 같은 수식 형용구로도 쓰이고 있다.복이란 글자가 들어간 한자의 숙어는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복지(福祉)·복조(福祚)·복락(福樂)·복력(福力)·복분(福分)·복상(福相)·복수(福數)·복운(福運)·복수(福手)·복인(福人)·복승(福僧)·복장(福將) 등이다. 이상은 복자가 머리에 오는 경우이다. 그 다음 복자가 나중에 오는 숙어들의 보기를 들면 먼저 복을 동사의 목적어로 삼은 기복(祈福)·초복(招福)·발복(發福)·축복(祝福)·석복(惜福)·음복(飮福) 등이 있고, 다시 복을 수식 형용하는 다복(多福)··만복(萬福)·소복(小福)·박복(薄福)·지복(至福)·청복(淸福) 등의 숙어도 있다.그밖에도 복과 같이 붙어 다니는 개념으로서 두자가 흔히 같이 쓰이고 있는 수복(壽福)·복록(福祿)·복덕(福德)·화복(禍福) 등의 복합어도 있다.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 복이란 말의 실용 예를 들어보면 신년 정초에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라고 하는 인사말, 그리고 편지를 끝맺을 때 ‘댁내에 큰복이 내리시기를 축원합니다.’라고 하는 경구 등이 가장 흔히 눈에 띄는 보기들이다. 그밖에도 좋은 일을 하면 ‘복이 돌아온다.’고 말하고, 궂은 일을 하면 ‘복이 달아난다.’라고 말한다. 생김새가 좋은 사람을 보면 ‘복스럽게 생겼다.’, ‘복이 있어 보인다.’라고 말하고, 인상이 좋지 않은 사람을 보면 ‘복 없게 생겼다.’라고도 말한다.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인 개화기 이후에도 복음(福音)·복지(福地)와 같은 번역어들을 만들어내고 있고 복지사회(福祉社會)와 같은 개념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일반 서민생활에서는 복덕방(福德房) 출입이 잦은 ‘복부인’이란 말이 1970년대 이후 유행하더니, 1980년대에는 주택복권·올림픽복첨(福籤) 등의 말이 일상용어 속에 새로 자리잡고 있다. 의식주 생활과 복의 상징복의 조형적인 상징은 복자 및 복과 관련된 길상문자(吉詳文字)와 함께 한국인의 전통적인 의식주 생활의 여러 군데에서 숱하게 눈에 띈다. 먼저 의생활과 관련된 것부터 살펴보면 아이가 세상에 태어날 때 맨 먼저 그를 싸주는 강보(襁褓)에 흔히 수놓은 글자가 복자이고 갓난아이의 베갯모(베개의 양쪽 마구리의 꾸임새)에도 복자를 수놓은 것을 자주 본다. 일반사회에서도 아이들의 돌옷, 부녀자의 한복에는 복자를 수놓거나 복자무늬의 옷감이 이용되었고, 궁중에서는 왕비나 비·빈의 원삼(圓衫), 공주의 활옷[花衣], 당의(唐衣) 등에 역시 복자 무늬를 수놓거나 복자 무늬가 든 감을 쓰곤 하였다. 비단 갓난아이의 강보만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여염집의 침구에는 요·이불·베개에 두루 복자 무늬가 든 감이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베갯모의 수 글자에는 복자와 복에 관련된 길상문자가 많이 눈에 띈다. 오복을 기원하는 의생활에서의 조형적 상징은 특히 전통사회의 안방에서의 부인네들 살림살이 주변에 널리 깔려 있다. 반짇고리·바늘겨레·자[尺] 등 바느질과 관련된 물건에도 복자가 자리잡고 있고, 특히 장신구에 있어서는 복자나 복을 상징하는 박쥐[蝙蝠(편복):의 한자어가 복과 같은 소리를 낸 데서 유래]는 가장 흔히 쓰이는 장식 주제가 되었다. 부인의 관모류에는 화관(花冠)이나 족두리 혹은 전모(氈帽)에 복자와 복과 관련된 길상문자를 수놓기도 하고 붓으로 적기도 하였다. 궁중에서나 반가(班家)에서 길사(吉事)가 있을 때 옷을 정장한 부녀들이 옷고름·안고름·허리띠 등에 매단 노리개류에는 복과 관련된 수(壽)·부(富)·귀(貴)의 세 글자를 엷은 구리판에서 오려내어 술(絲線) 세 줄에 달고 그 위를 매듭으로 장식한 문자삼작(文字三作),노리개가 있다.또 오복을 기원하는 뜻에서 도금(鍍金)한 박쥐를 아래위의 매듭 사이에 꿴 편복삼작(蝙蝠三作) 노리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