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살 때 부터 아버지의 보호자"…복지 사각지대 '영 케어러' [MBN 종합뉴스]

"16살 때 부터 아버지의 보호자"…복지 사각지대 '영 케어러' [MBN 종합뉴스]

【 앵커멘트 】 어린 나이에 한 가정의 보호자로 부모나 조부모의 병간호를 하는 '영 케어러(Young Carer)'라고 불리는 10대, 20대들이 있습니다 조건이 맞지 않아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대상에서 빠진, 복지의 사각지대에 있는 영 케어러들의 목소리를 김태림 기자가 제보M에서 들어봤습니다 【 기자 】 지적 장애인 아버지를 돌보는 20대 A 씨는 지난해 이른바 '영 케어러'(Young Carer)가 됐습니다 일용직 근로자였던 아버지와 단 둘이 살던 A 씨는 갑자기 아버지가 쓰러지면서 가장이 된 겁니다 ▶ 인터뷰 : A 씨 / 영 케어러 - "지출, 식비, 생활비 그걸 제가 부담을 해야 하니까 약간은 미혼모가 된듯한 기분…우울증이 좀 왔었어요 번아웃(무기력증) 진단을 받고…" 뇌출혈로 쓰러진 아버지를 16살 때부터 돌보고 있는 김율 씨 처음엔 어떻게 무엇을 해야할지 막막했고, 자신이 아버지의 보호자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조차 하지 못했습니다 뒤늦게 아버지의 정신질환을 발견했지만 변변한 치료조차 받지 못한 게 두고두고 한이 됐습니다 ▶ 인터뷰 : 김 율 / 영 케어러 - "안타까움을 느껴요 어른다운 어른이 한 명이라도 있었더라면 이렇게까지 아버지가 기능이 저하되지 않았을 텐데…" 영 케어러 대부분이 10대에서 20대로 부모가 65세 이하인 경우가 많아, 노인 돌봄서비스는 물론 장애인 지원이나 기초생활수급자가 되기도 쉽지 않아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습니다 ▶ 인터뷰(☎) : 김범중 /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기존에 어떤 일을 왕성하게 해왔고, 실직인 상태가 얼마 안 됐고 그런 상황이라면은 기초생활수급자가 선정되기가 쉽지는 않죠 왜냐면 그것도 다 절차가 있거든요 " 특히 배우자가 간병을 책임지는 가정이 많았던 과거와는 달리, 이혼 가정이 많아지면서 '영 케어러'가 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지원은커녕 실태 조사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 인터뷰(☎) : 정익중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어떤 정책이든지 정책을 제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현황파악이 가장 우선인데 영케어러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 현황파악도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정책을 만드는 것조차가 어렵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 한창 미래를 꿈꿔야할 어린 나이에 가장이 돼버린 '영 케어러'들 이제 사회가 나서서 해결해야 할 문제입니다 MBN뉴스 김태림입니다 [goblyn mik@mbn co kr] #MBN #종합뉴스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