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영단어 500 발음] driver 고제윤 글자로, 이런 글자를 읽으면 소리가 바뀝니다 드라이버, 도라이바](https://krtube.net/image/cBgZIoqmTx8.webp)
[기본 영단어 500 발음] driver 고제윤 글자로, 이런 글자를 읽으면 소리가 바뀝니다 드라이버, 도라이바
드라이버(운전사)와 도라이바가 같은 단어라고? 알파벳은 음소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하는 방법입니다. 각각의 소리 단위를 하나씩 소리내는 글자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훈민정음 표기 원리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방식이지만 호흡 단위로 글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받침 글자가 존재합니다. 받침 글자의 경우 자음이 겹치는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같은 원리로 첫 소리에도 자음이 겹칠 수 있습니다. 영어 단어에서 보는 dr과 같이 첫 소리에 자음이 겹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음 겹침의 원리는 일본어 방식에서는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일본어의 특성상 자음이 겹치는 것은 있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음이 겹치는 경우 일본어에서는 각각의 자음에 모음을 넣어서 발음합니다. 즉, 자음 모음 자음 모음의 결합으로만 소리를 이해하는 방식이 일본어 방식이며, 이 방식으로 글자 표기를 나타내는 것이 한글 영어 표현입니다. 자음이 겹치는 경우 훈민정음은 소리의 호흡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함께 표기하는 원리입니다. Driver의 경우 일본어 방식으로 표기하면 '도라이바' 와 '드라이버' 가 됩니다. '도라이바'는 완전한 일본어 방식의 발음이며, '드라이버'는 일본어 방식의 한글 영어를 약간 개량한 것입니다. Driver와 같은 발음을 고제윤 글자 표기에서는 자음을 같이 표기하는 방식으로 소리의 길이와 글자 표기의 길이를 일치시켰습니다. 이러한 글자 표기는 소리글자인 훈민정음의 표기 원리가 되기도 합니다. Driver가 도라이바와 드라이버가 되는 원리를 제시하고 그 해결 표기를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