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 '외환위기' 판박이…극약 처방 필요?

경제지표 '외환위기' 판박이…극약 처방 필요?

경제지표 '외환위기' 판박이…극약 처방 필요? [앵커] 기업파산과 실업률 등 경제지표가 외환위기 수준으로 곤두박질 치고 있습니다. 극약처방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각 경제주체간 책임회피와 파업 등이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나라 주요 경제지표가 외환위기 수준으로 악화하고 있습니다. 파산 또는 법정관리를 신청한 기업은 지난해 1천511건으로 급증하더니 올해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들도 지난해 159곳으로 17년만에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기업의 채용여력이 줄면서 실업자 수도 늘고 있습니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는 지난달 18만2천명으로 지난 1999년8월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무엇보다 우려스러운 점은 외환위기 때처럼 일시적인 충격이 아니라 장기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자연스레 저성장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내년에도 2%대 저성장을 이어가지 않으려면 기업 규제 완화를 통한 투자 활성화, 가계 소비심리 회복을 통한 내수기반 강화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물류 분야에 빨간불이 켜지는 등 경제에 발목을 잡는 일들만 생겨나고 있습니다. 물류대란을 야기한 한진해운의 경우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을 받았는데, 조선 등 다른 한계기업들의 구조조정 역시 올해 안에 원활히 마무리할 수 있을지 미지수입니다. 게다가 27일부터 시작하는 철도노조 파업이 장기화할 겨우 육상 화물운송도 차질이 불가피합니다. 경기를 살릴 촉진제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당장 꺼야할 급한 불들만 늘어가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