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탄 지급부터 난사까지 통제 전혀 안 돼"

"실탄 지급부터 난사까지 통제 전혀 안 돼"

"실탄 지급부터 난사까지 통제 전혀 안 돼" [앵커] 어제 예비군훈련장 총기난사 현장에는 총기 사용 과정에서 어떤 통제도 이뤄지지 않았고 CCTV도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진행된 국방부 현안보고에서는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이경희 기자입니다. [기자] 사실상 통제 기능이 전혀 작동되지 않았던 예비군훈련장은 안전사고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훈련장마다 실탄 지급, 총기 관리 방식이 제각각이고 대부분 지휘관 재량에 따라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회에서는 군의 안일한 안전 의식에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유승민 / 새누리당 원내대표] "현장에 사격통제장교 3명 조교 6명 있었는데 이 장교와 조교들이 전혀 무장 하지 않은 상황에서 탄창에 있는 실탄 10발을 다 쏠 때까지도 아무도 제압하지 못한 건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총구 고정 장치가 결속됐는지 최소한의 확인도 없이 실탄이 지급됐고 사격 훈련현장에는 안전사고 등을 감시할 CCTV도 없었습니다. [최돈철 / 국방부 동원기획관] "표적지에 한발 사격 후에 일어서서 뒤에 있던 1사로 부사수에게 1발을 사격하고 이어서 사격 중이던 2,3,5사로 예비군에게 사격 후…" [백군기 / 새정치연합 의원] "총구를 전방을 향해 최소한의 움직임만 가능하도록 고정해야 합니다. 그런데 고정하는 장치가 제대로 결속됐는지 확인하지 않았고 결국 총기난사를 막지 못했습니다." 총기를 난사한 최 모 씨가 현역병 시절 정신병력이 있는 B급 관심병사였고 관련기록이 병무청에 남아 있었지만 예비군 소집 과정에선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김성찬 / 새누리당 의원] "현역 때 관심사병 보호사병에 대한 자료가 사실 부대에 남아 있잖아요. 그걸 동원훈련 올 때 전산화해서 볼 수 있게 시스템을 만들었다고...그런데 확인 잘 안 하고 통상적으로 해오다 보니까…" 여야는 예비군 훈련 실태 전반을 즉각 점검하고 안전대책 및 관리 소홀에 대한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email protected]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