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 보물 단지를 찾아라…해양광물 탐사 / YTN 사이언스
■ 김동환 / 국제전략자원연구원장 [앵커] '깊은 바다에 있는 보물선을 찾는다면 어떨까?' 한 번쯤 이런 상상해보신 적 있나요? 보물선을 아니지만 실제로 깊은 심해에는 귀중한 각종 자원이 숨겨져 있는데요 해양 광물 자원이죠? 오늘 '매거진'에서는 '해양 광물'의 개발 현황과 탐사 계획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동환 국제전략자원연구원장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광물이라고 하면 중국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중국에 의존하는 광물 의존도가 높은 건데, 의존만 하면 상관없는데, 항상 중국 때문에 난감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어요 최근에도 그랬죠? [인터뷰] 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광물 소비 대국이고 수요 광물의 92%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희소금속 수입 문제는 심화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 산업에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희소금속들의 수입국 비중은 중국이 압도적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희토류 98%, 리튬은 67%, (코발트 36%, 텅스텐 56%,) 마그네슘 72%, 망가니즈 81% 등 대부분의 금속이 중국에서 수입되고 있다 보니까 항상 중국의 눈치를 살필 수밖에 없습니다 [앵커] 그런데 북한에는 이런 희소금속들 매장량이 세계적인 수준이라는 이야기, 출연해서 해주신 적 있잖아요 그런데 우리가 그것만 믿고 기다리기에는 아직 멀지 않았나 생각이 들거든요 [인터뷰] 네 아주 중요한 말씀 해주셨습니다 국내 광물자원 관련 공사, 기관, 민간 연구소 등이 매긴 북한 광물자원의 잠재가치가 무려 3,200조 원에서 최대 1경 원까지 매겨지는 등 천문학적인 금액에 달할 정돕니다 근데 잠재가치란 것은 단지 매장량에 시장가격을 곱한 단순 추정치일 뿐이고요, 실제 채굴할 수 있는 매장량과 비용 등이 산입된 경제적 가치와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국제기준에 맞게 북한 광물자원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최소 5년 이상의 탐사 기간이 필요하고요 그 이후에 매장량이라든지 정확한 가치가 나올 겁니다 그래서 북한 광물자원에 투자해서 수익을 보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 다양한 경로 확보를 해야 합니다 그중에서 오늘 주제가 바로 해양인데요 해양 광물 종류는 다양하다고 들었어요 망가니즈 단괴, 망간각, 여러 가지 해양 광물들이 있는데, 개념부터 설명해주시죠 [인터뷰] 네 우리나라가 탐사 중인 심해저 광물자원은 크게 망가니즈 단괴, 망가니즈각, 해저열수광상이 있습니다 단괴와 각이 무엇인지 생소하실 텐데요, 둘 다 광물 덩어리이긴 한데 단괴는, 물론 큰 건 2m까지 있습니다만, 대부분 1~15cm 크기의 둥근 덩어리 형태로 해저 바닥에 점처럼 붙어있고요 각은 3~5cm 두께의 껍질 형태로 해저산 경사면을 아스팔트처럼 덮고 있는 형태입니다 [앵커] 그러니까 형태와 매장 위치에 따라 구분이 된다고 보면 되겠네요? 그럼 앞에 붙은 망가니즈는 망간이 많다는 뜻인가요? [인터뷰] 맞습니다 망가니즈 성분이 제일 많기 때문인데요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코발트와 희토류 같은 금속도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해양 광물 자원 중‘해저열수광상’은 해저화산에 스며든 바닷물이 마그마에 의해 가열되고 분출하는 과정에서 그 속에 녹아 있던 각종 금속이 퇴적하여 만들어진 광물자원입니다 구성은 구리나 아연도 있지만, 금이나 은처럼 귀금속류의 함유가 높아서 심해저 광물자원 중 가장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앵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