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하는 10쌍 중 1쌍은 다문화 가정[목포MBC 뉴스데스크]

결혼하는 10쌍 중 1쌍은 다문화 가정[목포MBC 뉴스데스크]

[목포MBC 뉴스] ◀ 앵 커 ▶ 다문화가정이랑 국제결혼을 한 부부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가정을 말합니다. 외국인 노동자 증가와 함께 전남에서도 다인종·다문화가 공존하고 있는데요. 목포MBC 기획보도, 오늘은 곳곳에서 함께하는 이웃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귀화자들을 만나봤습니다. 서일영 기자입니다. ◀ 리포트 ▶ 2007년 베트남에서 목포로 시집 온 박진주 씨. 박 씨는 5년 전부터 한 대학교에서 출장 입학상담 등 유학생 관리 업무를 맡고 있습니다. ◀ INT ▶ 박진주 / 베트남 결혼이주 여성 '(엄마가) 학교에 가서 일하고 있어요' 애들한테 이야기해주면 애들이 '우리 엄마 잘하고 있구나'하고 '자랑스러운 우리 엄마' 그러면서 응원해주고.. 전남에서는 결혼하는 10쌍 가운데 1쌍이 다문화 가정이며 전국에서 그 비율은 3번째로 높습니다. (반투명CG) 하지만 박 씨와 달리 대부분 결혼이민자와 귀화자들에게 안정적인 일자리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기입니다. 언어 장벽과 정보 부족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이주 여성들이 찾을 수 있는 일자리는 대부분 저임금으로 생활고를 겪을 수 밖에 없습니다. 다문화지원센터나 가족센터에서 한국어를 배울 수는 있지만 대부분 기초적인 수준 또 결혼 이주여성들을 위한 프로그램이 있기는 하지만 실제 취업으로 이어지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맞춤형 직업 훈련 과정보다 자격증 합격률이 높은 프로그램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 SYNC ▶ 가족센터 관계자 나중에 결과 보고서 할 때 돈은 이 만큼 썼어요. 그런데 합격률이 한 명, 두 명 그러면 이 사업을 왜 하느냐 그러죠.. 그러다 보니까 (수요 맞춤형 지원은) 어렵더라고요. 자녀 교육 문제 등을 의논하고 도움받을 수 있는 곳도 많지 않은 상황 열악한 경제 여건은 이주여성들의 불안감을 키워 자녀들도 제대로 돌봄을 받지 못합니다. 그러다보니 결혼이주여성들끼리 정보를 공유하고 도움을 주기 위한 협회를 만들 준비를 하기도 합니다. ◀ INT ▶ 남유아 / 베트남 결혼이주 여성 네트워크 방식으로 홍보하고 또 직접 이주 여성들의 나라 언어로 정보는 교류하는거죠. 청년들을 위한 창업, 취업지원금과 같은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예산지원도 필요합니다 다문화가정을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정해주고 그들이 조기 정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시적 시책이나 지원보다는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야 합니다 MBC 뉴스 서일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