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잇따른 개학연기에 급식재료 ‘산지폐기’ / KBS뉴스(News)
학생들 등교가 사실상 무기한 늦춰지면서 급식재료를 납품해온 농가와 업체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오래 보관이 힘든 식자재들은 폐기되고, 급식 우유 업체들은 할인 판매로 버티기에 들어갔습니다 우정화 기자가 현장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만큼 썩은 채소가 어지럽게 널려있습니다 급식용으로 키운 청경채 2톤입니다 개학이 계속 미뤄지며 팔 곳을 찾지 못해 산지 폐기하고 있는 겁니다 [이근철/농민 : "진짜 농사를 지어서 자식같이 이렇게 키웠습니다 이게 학교 급식에 나가질 못해서 이렇게 전체적으로 뽑아 버리고 있습니다 "] 또 다른 급식 채소 재배 농가도 마찬가지 돈을 벌기는커녕 납품할 곳이 없어진 파를 치우느라 돈을 쓰고 있습니다 지난해 8월부터 재배된 이 파는 오늘 모두 폐기처분됩니다 분량은 1 3톤, 액수로는 7백여만 원에 이릅니다 [박상견/농민 : "이거를 팔 수도 없고 어떻게 처분할 방법이 없으니까 "] 급식용으로 유통되는 농산물은 매달 만6천여 톤 정부가 일부는 판로를 확보해준다고 했지만, 고작 8백여 톤, 전체의 20분의 1에 불과합니다 학교급식 납품업체 2백여 곳도 매출이 끊겨 폐업위기에 놓인 곳도 있습니다 급식우유업체들은 특판행사에 들어갔습니다 급식우유용 원유 생산량은 하루 6백 톤 200㎖짜리 3백만 개가 매일 남아돌지만 생산을 갑자기 줄일 수도 없습니다 유통기한이 긴 멸균우유 등으로도 만들어보지만, 이제 한계라고 합니다 [배정식/한국낙농육우협회 상무 : "더 장기화될 경우에는 감내하기 좀 어려운 상태까지 갈 수 있지 않을까 "] 계속된 등교 연기에 급식 관련 농가와 업체들까지 줄줄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KBS 뉴스 우정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