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인사이드] 올해 코레일 사망자 4명째...노동자가 본 '오봉역 사고' 구조적 문제는? / YTN

[이슈인사이드] 올해 코레일 사망자 4명째...노동자가 본 '오봉역 사고' 구조적 문제는? / YTN

■ 진행 : 김영수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김선욱 철도노조 정책실장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N이슈]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최근 화물 수송 준비 작업을 하던 코레일 소속 30대 노동자가 열차에 치여 숨졌습니다. [앵커] 철도 노동 현장에서올해 숨진 코레일 노동자만 4명입니다. 반복되는 사고 속에노동자들이 본 구조적인 문제점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철도노조 김선욱 정책실장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김선욱] 안녕하세요. [앵커] 닷새 전입니다. 지난 5일이죠, 오봉역에서 30대 노동자가 열차에 치여 숨졌습니다. 무엇보다 유족들께서 상심이 크실 것 같은데 만나보셨습니까? [김선욱] 저희 노동자협회에서 만나봤는데요. 어쨌든 아직까지도 이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실감이 너무 크셔서 노동조합도 사실 이 부분과 관련해서 저희도 죄인이기 때문에 다시 한 번 이 자리를 빌려서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앵커] 어떤 말씀을 주로 하시던가요? [김선욱] 일단 고인이 그렇게 열악한 현장에서 일하는지 유족들은 모르고 있었고 그리고 사고 현장이 너무 끔찍하기 때문에 오열하시는 거죠. 도저히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인 것 같습니다. [앵커] 유족들께서 직접 사고 현장도 가보신 겁니까? [김선욱]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앵커] 사고 내용을 지금부터 하나하나 짚어보겠습니다. 이 노동자가 어떤 작업을 하던 중이었습니까? [김선욱] 고인이 되신 분께서 작업하는 곳은 오봉역이라고 화물열차를 기관차와 연결했다가 분리했다가, 열차를 조성하는 작업을 하는 곳인데요. 이곳이 코레일의 전체 화물 물동량의 한 36%를 차지할 만큼 작업량이 엄청나게 많습니다. 작업현장도 워낙 열악하고 가장 위험하기로 유명한 직종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날 사고는 고인이 기관차와 화물차량들을 연결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하다가 저희가 열차의 진로를 잡아주는 선로 전환기라는 게 있어요. 열차는 핸들이 없잖아요. 그러니까 밖에서 열차의 진로를, 선로를 전환해서 진로를 잡아줘야 되는데 그 고인이 선로 전환기를 취급해서 해당 열차가 예를 들면 B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선로를 구성해 놨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B 방향으로 잡히지 않고 A 방향으로 사실은 선로가 구성돼서 작업자분은 A 방향 쪽으로 걸어가고 있었던 거죠. 걸어가고 계셨는데, 당연히 B 방향으로 갈 줄 알고. 그런데 그걸 모르고 열차가 뒤에서 고인을 덮쳐서 참사가 벌어진 상황입니다. [앵커] 이게 일단 잘못된, 그러니까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왔다고 해도 사실 이 열차를 준비하는 곳이면 속도가 그렇게 빠를 것 같지는 않은데 기관사가 그걸 보기 어렵습니까? [김선욱] 거기 속도 제한이 있어요. 25km 이하로 운행을 하게 되어 있고요. 그런데 그 오봉역과 같은 곳은 저희가 흔히 무궁화호 열차를 타보시면 알겠지만 맨 앞에 기관차가 있고 그 뒤에 객실, 객차들이 연결되어 있잖아요. 당연히 기관사가 전방 시야를 확보를 하면서 운전을 하게 되어 있는데 이곳 같은 경우는 화물차량을 뒤에 연결해서 그렇게 운행을 할 경우에 다시 차량을 분리해서 기관차가 또 다른 작업을 하기 어려운 조건이에요. 그러다 보니까 화물차량이 저희가 한 20량이라고 하면 보통 280m, 300m가 되는데 열차의 맨 후부에, 맨 뒤쪽에 기관차를 연결해서 밀고 가는 형태로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기관사가 기관사 앞에 300m...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3_202211... ▶ 제보 하기 : https://mj.ytn.co.kr/mj/mj_write.php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