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경전철지부, '빨간띠' 두르고 경고파업 예고

용인경전철지부, '빨간띠' 두르고 경고파업 예고

▲17일 용인경전철지부​가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임단투 승리와 안전운행을 위한 파업 예고 쟁의행위 돌입 기자회견'을 갖고 단체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용인경전철지부 제공) ▲17일 열린 '임단투 승리와 안전운행을 위한 파업 예고 쟁의행위 돌입 기자회견'​을 앞두고 이석주 용인경전철지부 지부장이 경과보고 등을 연습하고 있다.​​(영상:편집=최영석 기자) (용인=최영석 기자)"노동조건 개선하라", "안전인력 충원하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이하 용인경전철지부)가 17일 오전 11시 용인시청 브리핑룸에서 '임단투 승리와 안전운행을 위한 파업 예고 쟁의행위 기자회견'을 가지면서 외친 구호다. 이들은 '단결투쟁'이라는 문구가 적힌 빨간띠를 머리에 두르고 자신들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시, 오는 30일과 31일 양일간 경고파업을 예고했다. 용인경전철지부는 먼저 2019년 임단협을 통해 △정규인원은 정규직으로 채용 △합의없이 시행된 탄력근로제폐지 △임금테이블 신설 △임금격차 감소를 위한 정액인상 △본사와 차별적인 복지후생 개선 등을 요구했다. 이어 △용인시, 시행사, 운영회사의 사고 재발방지 대책 마련 △부족한 정규인원 신규채용을 통한 정규직 충원 △청년 인턴직원 정규직 채용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용인경전철의 운영체계 개편(공영화) △네오트랜스는 용인경전철 세부 회계 내역 공개 △정률이 아닌 정액 인상 요구(상후하박식 임금 철폐) △합의없는 탄력근로제 폐지 △성과급 제로를 비롯한 본사와 차별적 복지후생 개선 △진급 수당 지급을 요구했다. 한편, 용인경전철지부는 오는 30일과 31일 경고파업 전, 오는 18일부터 안전운행투쟁 및 준법투쟁, 오는 24일 '임단협 승리를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용인시청 앞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다음은 용인경전철지부 파업 예고에 대한 기자회견문 전문이다. "네오트랜스는 용인시민 안전과 불편을 방패삼지 말고 노동조합과 대화에 나서라!" "이윤추구를 위해 시민안전을 위협하는 네오트랜스의 무책임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습니다. 지난 5월 단체협약을 시작한 뒤로 노동조합은 참고 기다렸습니다. 사측이 제시안을 가져오지 않아도 기다렸고 교섭을 40차례이상 진행하면서 합의점을 찾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2월 9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중지를 결정을 받던 날 노동조합은 ‘12월 13일까지 한번 더 만나자, 쟁의권을 얻었지만 그때까지 피해가 없도록 기다리겠다’ 라고 했지만 회사는 소식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어제, 사측이 실무교섭을 제안했고 집행부는 기대감을 가지고 사측과 만났습니다. 하지만 진전된 제시안은 전혀 없고 노동조합의 동태만 살피는 모습에 실망을 넘어 분노를 느꼈습니다.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습니다. 우리의 요구가 용인 시민의 세금과 안전에 닿아 있기에 물러설 수 없습니다. 안전한 열차이용을 위한 정규인원 충원, 운영사의 투명한 경영,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경쟁과 갈등 부추기는 임금구조 정상화를 요구합니다." "용인시에 묻고 싶습니다. 용인시 세금 2%에 달하는 용인경전철 예산중 265억이라는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아십니까? 용인시 세금으로 운영되는 회사의 법인세가 어느 시로 납부되는지 아십니까? 공공성을 보장해야 하는 철도를 이윤남기기에 혈안이 된 민간기업에 맡기는 건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기는 격입니다. 공공철도가 기업의 이윤에 눈이 멀어 시민의 안전과 멀어지게 운영하는 것은 그 운영권을 맡긴 주문관청도 책임을 져야합니다. 용인경전철의 투명한 관리 운영을 용인시에 요구합니다. 백군기 시장은 용인경전철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지난 11월 23일 기흥역에서 고장발생으로 운행이 멈추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현장에 도착한 정규직인원이 1분 만에 수동운행으로 수습한 간단한 사고였습니다. 하지만 정규직인원이 도착하기 전 역사를 담당하던 비정규직인원은 25분 이상을 소요하며 조치를 취하지 못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고객들에게 상황고지조치 하지 않아 민원과 환불이 발생했습니다. ‘회사는 비정규직이여서가 아니라 해당 직원이 업무에 미숙했다’라고 말했지만 사고 직후 비정규직 직원 전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이 시행됐습니다. 6개월 이상 숙련기간이 필요한 업무에 단기교육 후 계약직을 투입시킨 회사의 책임입니다." "철도사업장에 관행으로 남아있는 타기관 퇴직자 채용이 시민의 안전을 위협한 것입니다. 회사가 정규직채용은 업무숙련기간이 길기 때문에 인원충원을 위해서는 계약직이 필요하다고 말하면서 숙련되지 않은 사람을 업무에 배치하는 건 시민의 안전보다 회사의 이윤이 먼저이기 때문입니다." "더 안전한 용인경전철, 용인청년에게 좋은 일자리인 용인경전철을 만들기 위해 노동조합은 내일부터 준법투쟁에 돌입합니다. 용인시, 네오트랜스(주)의 입장변화가 없다면 30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것입니다. 노동조합의 투쟁으로 용인시민들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잠깐의 불편함으로 안전한 용인경전철을 만들 수 있다면 노조의 선택은 그것이 될 것입니다. 용인시민 여러분의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립니다." 2019년 12월 17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용인경전철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