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마지막 날...이별의 건배 / YTN

이산가족 상봉 마지막 날...이별의 건배 / YTN

■ 임을출 /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정대진 /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 [앵커] 60여 년 만에 허락됐던 2박 3일간의 짧은 만남이 끝났습니다. [앵커] 오늘은 애끓는 이별의 순간이 이어졌습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정대진 아주대 통일연구소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두 분 안녕하십니까? [인터뷰] 안녕하십니까? [앵커] 2박 3일, 이제 막 익숙해졌을 텐데 다시 헤어져야 됐습니다. 교수님, 얼마나 안타까웠을까요? [인터뷰] 그러게요. 슬픔의 총량이라고 하는 게 헤어지는 순간, 다시 만났다 다시 있다가 헤어지고 하는 게 아픔이라고 하는 건 계속 유지가 되는 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봐도 제 고모님이 아들을 군 작전 중에 순직해서 잃으셨거든요. 그래서 매년 현충원에 가셨는데 매년 따라갈 때마다 우시는 울음의 양이나 시간이나 그런 것들이 언제나 동일하거든요. 앞에 안 우려고 담배 반갑 정도 피우시고 그냥 버티고 하시다가 돌아섰다가 다시 또 나중에 비석 부여잡고 우시고 하는데 그게 늘 매해 그 슬픔의 총량이 똑같다는 걸 느꼈습니다. 주변 보면 다 똑같아요. 그런데 아마 이산가족 분들도 다 비슷할 것 같아요. 한 60년, 70년간의 그리움들이 묵혀 있던 것들이 이번에 2박 3일 동안 터졌는데 그런데 그 그리움이라고 하는 것는 시간이 지난다고 사그라들거나 풍화되는 게 아니잖아요. 헤어져서 오시는 그 버스 안이 어떨지 참 막막합니다. [앵커] 오늘 작별상봉이 있었는데 작별상봉이라는 말이 잔인한 게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작별을 하기 위해 만나는 거 아니겠습니까? [인터뷰] 그렇죠. 사실 지구상에 전쟁으로 인해서 가족이 헤어지고 또 65년, 70년 넘게 서로 생사확인도 안 되고 그렇게 해서 간신히 생사확인이 돼서만났는데 단 3일만 같이 지내고 또 헤어지고. 아마 지구상에 이런 비극적인 역사를 가진 나라가 아마 우리밖에 없을 겁니다. 더군다나 멀리 있는 것도 아니고 매우 가까운 북측에 위치를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생사를 확인할 수 없고 다시 연락할 수 없다는 것. 그런 맥락에서 우리가 이런 비극적인 장면은 더 이상 봐서는 안 되겠다. 사실 그런 생각도 하게 됩니다. [앵커] 오늘 마지막 만남이 오전 10시부터 이어졌습니다. 당초에는 오전 11시부터로 계획이 되어 있었는데 남측의 요청로서 북측이 받아들여서 1시간 당겨졌다 이러더라고요. [인터뷰] 지금 남북 간의 관계가 괜찮은 상황이기 때문에 남측의 요구에 대해서 북측에서도 유연하게 반응을 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1시간 정도 더 늘어난 게 참으로 잘된 일이죠. 짧은 시간이기는 하지만 그 1시간이라도 더 보장됐다는 것 자체가 좋은 것이고. 현장에서 남북 당국자들이 실무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고 현장에서 결정되고 1시간이 늘어나고 하는 것들이 남북관계가 잘 풀려나가고 있는 그런 하나의 좋은 증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앵커] 오늘 작별상봉을 하고 그리고 점심을 먹는 동안에 가족들은 서로를 걱정하고 또 앞으로를 걱정하고 위로하는 그런 모습을 볼 수가 있었는데 한신자 할머님은 딸들의 건강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부분이 참 인상적이었는데요. [인터뷰] 아무래도 잘 걱정하는 것이 건강이겠죠. 왜냐하면 건강을 유지해야 또 다시 만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런 맥락에서 안부, 특히 건강 안부를 가장 묻고 걱정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사실 이번에 우리 쪽 이산가족 분들이 가장 북측의 가족에게 제공할 선물로써 가장 준비한 것이 의약품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만큼 ... (중략) ▶ 기사 원문 : http://www.ytn.co.kr/_ln/0101_2018082...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email protected],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http://goo.gl/Ytb5SZ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