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사이트] ‘낙동강 통합 물관리’ 출발부터 ‘삐걱’? / KBS 2021.08.25.
[앵커] 경남의 뉴스와 현안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 보는 '김소영 기자의 뉴스 인사이트' 입니다 김소영 기자, 경남과 부산의 먹는 물 갈등이 또 다시 불거졌습니다 물 좀 달라, 못 준다 두 지역의 갈등이 시작된 건 언제부텁니까? [기자] 네, 30년 전인 1991년 3월의 뉴스부터 보시죠 독성물질 페놀이 낙동강으로 유출된 사건입니다 당시 낙동강을 식수로 쓰는 인구는 경남 동부권과 부산, 대구까지 천 만명 수준이었는데요 이때부터 낙동강 식수원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고, 부산시가 상대적으로 깨끗한 경남 지역의 물을 식수로 공급받으려는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그럼 부산에서는 구체적으로 경남 어느 지역의 물을 원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서부권의 남강을 지목했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남강 물을 식수로 공급받으려는 시도를 시작했는데요 남강댐 수위를 기존 41미터에서 45미터로 높여, 물을 끌어가려는 방안도 추진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진주와 사천 주민들은 침수 위험과 수질 악화 등을 이유로 거세게 반발했는데요 지리산 댐 건립도 추진했지만, 이 또한 지역 주민 반발로 무산됐습니다 [앵커] 그럼 지금도 부산시는 남강 물을 식수원으로 요구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그런 건 아닙니다 부산시는 주민 반발에 계속 부딪히자 2년 전인 2019년 계획을 전격 수정했습니다 더 이상 남강 물을 요구하지 않겠다고 공식 발표했는데요 대신 '통합 물관리 방안'이 나왔습니다 핵심은 낙동강 지류인 합천 황강에 취수장을 만들고, 창녕 인근에도 강변여과수를 개발해 하루 90만 톤의 식수원을 확보한다는 내용입니다 이 물을 창원과 김해 등지에 48만 톤, 부산에는 필요량의 절반 정도인 42만 톤을 공급한다는 계획입니다 이 방안은 지난 6월 '낙동강 물관리 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앵커] 그럼 오랜 물 분쟁이 해소될만도 한데, 최근 또 갈등과 반발이 계속되고 있어요 어떤 문제가 있습니까? [기자] 가장 큰 문제는 이번에도 주민 반발입니다 황강 취수장 사업에 대한 합천군의회 입장 들어보시죠 [배몽희/합천군의회 의장/지난해 8월 : "황강 취수장에서 45만 톤의 물을 가져가면 합천군의 상류로 20km까지 공장 제한구역이 설정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공장제한구역이 설정되면 합천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역점사업들을 거의 추진할 수 없게 되고… "] 상수원 보호구역 지정으로 재산권이 침해되고, 지역이 낙후한다는 우려입니다 또 다른 방안이 창녕 인근 낙동강에 강변여과수를 만들겠다는 건데요 창녕 주민들 역시, 지하수 고갈 등 농업 피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환경단체까지도 '통합 물관리 방안'이 결국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을 포기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부산시마저 이 '통합 물관리 방안'을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