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 국가책임제’ 1년…현장은 곳곳 혼선 / KBS뉴스(News)
'치매는 국가가 책임지겠다' 치매 국가책임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대선공약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이후 1년여 만에 전국 지자체 곳곳에 치매안심센터가 200군데 넘게 설치됐습니다. 그런데 실제 운영상황은 과연 어떨까요? 김진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한 자치단체 치매안심센터입니다. 치유를 돕는 텃밭, 기억력 회복을 도와주는 로봇. 전문 요양원이나 다름 없는 시설에 만족도가 높습니다. [박희성·라만강/치매안심센터 이용자 : "항상 웃음으로 대해 주시고, 어느 자식이 그만큼 하겠습니까. 그러니까 오지 말라고 해도 자꾸 오고 싶어요."] 정부가 치매 국가책임제를 선언한 지 1년, 하지만 이런 곳은 전국에 몇 되지 않습니다. 경기도의 다른 치매안심센터. 덩그러니 직원 사무실만 있고, 정작 환자 시설은 공사 중입니다. 환자를 돌볼 준비도 끝내지 않고 문부터 연 겁니다. [OO치매안심센터 직원/음성변조 : "공사 상황이 좀 더 지연될 수가 있고, 공사도 딜레이되고 막 이런 부분이 있어서..."] 간단한 치매 검사 외엔 할 수 있는 게 없는 곳도 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 직원/음성변조 : "청사를 확장해서 센터를 구비해야 하는데, 확장하는 데 시간이 걸릴 것 같아서..."] 공약을 지키려고 전국 250여 곳에 치매안심센터를 열긴 했지만 현재 정상 운영되는 곳은 80여 곳에 불과합니다. 치매를 가정에 맡기지 않겠다며, 환자 가족 시설과 낮 시간에 환자를 돌봐주는 치매쉼터를 센터마다 최소 1곳 이상 두도록 했지만 아직 절반 수준입니다. 5천여 명을 뽑겠다던 인력도 절반을 못채웠고, 임상심리사가 없는 곳도 85%나 됩니다. 현장 사정은 고려하지 않고 예산부터 확보하다 보니, 집행된 예산은 7%에 그쳤습니다. [김승희/국회 보건복지위원 : "많이 부실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부는 대책을 치밀하게 세워서 정말로 치매환자와 가족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정교한 정책 시행은 없고 의욕만 앞세운 치매안심센터. 환자와 가족들에게 병 만큼 아픈 실망을 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진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