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바닥 흙도 썩었다…“흘려보내는 게 최선” / KBS뉴스(News)

낙동강 바닥 흙도 썩었다…“흘려보내는 게 최선” / KBS뉴스(News)

어제(16일) 낙동강 수질이 물고기도 살 수 없는 '아주 나쁜 단계'인 6등급까지 떨어졌다는 보도를 전해드렸는데요 그렇다면 강 바닥의 상태는 어떨까요? KBS는 취재에 나섰다가 바닥의 흙을 채취할 수 없어 중간에 포기했는데요 현재의 상황을 류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낙동강 창녕함안보 상류 강 바닥 흙을 뜨기 위해 포집기를 내립니다 잠시 뒤, ["다 빠졌어 "] 물을 빼고 나니 악취를 풍기는 새카만 진흙이 겨우 손가락 몇 마디 정도 남았습니다 다음 번에도 겨우 반주먹 정도 [가톨릭관동대 조사팀 : "흙 있네! 있는 거 아냐?"] 하지만 허탕입니다 [오준오/가톨릭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 : "너무 곱고 가늘기 때문에 올라오면서 다 빠져버린 거죠 저희가 채취를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었습니다 "] 강바닥 흙은 보통은 이렇게 꽉 차게 올라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전문가들은 강물에 떠다니던 가볍고 미세한 오염 물질들이 흐름 없이 갇힌 상태가 계속되자, 바닥 흙 위로 겹겹이 쌓여 두터운 층을 이룬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오염 퇴적층이 쌓여있으니 바닥 쪽은 용존 산소가 무산소에 가까운 빈산소 상태입니다 낙동강 원수 수질이 6급수 수질인 이유가 강바닥 흙에서도 설명되는 겁니다 문제는 이 상태에서 계속된 폭염으로 '성층'이 형성됐다는 겁니다 수면 쪽은 수온이 높고 강바닥쪽으로 갈수록 낮아 물의 순환이 이뤄지지 않는 겁니다 바닥 흙은 푹푹 더 썩을 수밖에 없어, 녹조가 사라진다해도 자연정화를 기대할 수 없는 겁니다 [박재현/인제대 토목공학과 교수 : "수량이 풍부할 때 수문을 열어서 오염원들을 적절하게 씻어 내려 주는 방법들도 장기적으로 필요하다 "] 보 개방이 미뤄지는 사이, 강바닥도 6등급의 강물만큼 썩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