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창 오태석 13 춘향가 - 십장가
오태석(吳太石, 1895-1953) 20세기 전반에 활동한 가야금병창의 명인이다 그의 태생지로 거론되는 곳은 전남 보성군과 전남 순천군 낙안면(현재 전남 순천시 낙안면)이다 세습예인 집안 출신으로, 가야금산조와 가야금병창의 명인이자 판소리 명고였던 오수관(吳壽寬, 1875-?)의 아들이며, 판소리 고수 오성삼(吳聖三, 1866-1936)의 사촌형이다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 오수관의 가야금병창을 들으며 자랐다 순천의 박덕기(朴德基)에게 가야금을 배우기 시작했다 20세(1914) 이후에는 송만갑(宋萬甲, 1865-1939)에게 판소리를 학습했다 박귀희(朴貴姬, 1921-1993), 장월중선(張月中仙, 1925-1998), 정달영(鄭達榮, 1922-1997)이 그의 제자이다 오태석은 29세에 상경해 조선음률협회, 조선성악연구회, 조선음악연구회 등의 단체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40세에 송만갑, 이동백(李東伯, 1866-1949), 정정렬(丁貞烈, 1876-1938) 등과 함께 조선성악연구회를 조직하고 기악부를 맡았다 당시 창극 공연에서 〈흥부전〉의 놀부 역, 〈토끼타령〉의 잔나비 역, 〈옥루몽〉의 무부(武夫) 역 등을 맡기도 했다 광복 후 대한국악원 산하의 국극사(國劇社)에 참가해 창극을 재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유성기 음반으로 가야금병창과 남도잡가를 주로 녹음했는데, 단가 〈초로인생〉(Columbia 40230-A 伽倻琴並唱 草露人生 吳太石)과 〈죽장망혜〉(Victor KJ1296-B 短歌 竹杖芒鞋 伽倻琴並唱吳太石), 〈춘향가〉 중 '박석티'(Kirin C183-A 春香傳 박石틔(上) 吳太石 伽倻琴伴奏), 〈심청가〉 중 '방아타령'(Columbia 40394-A 沈淸傳 방아타령(上)·(下) 吳太石), 〈수궁가〉 중 '토끼화상'(Taihei 8008-A 伽倻琴倂唱 토끼화상 吳太石 長鼓李翠香), 〈흥보가〉 중 '돈타령'(Regal C147-A 伽倻琴竝唱 돈타령 吳太石 長鼓李興元) 등이 전한다 고음에서의 풍부한 성량, 익살과 재담을 섞은 사실적인 너름새로 명성이 높았다 이영민(李榮珉, 1881-1962)은 『벽소시고(碧笑詩稿)』에서 "오동 판과 금빛 줄은 교묘하고 정치한데(桐板金絲巧且精), 다섯 음계 스르렁대는 소리 월변(月邊)에서 일어나는 듯(五音切切月邊生) 아황 여영의 슬픔 어린 〈소상곡〉을 연주할 제(彈至皇英湘水曲), 어룡은 춤추고 봉새, 난새는 울어대네(魚龍起舞鳳鸞鳴)"라는 글로 그의 뛰어난 기량을 묘사한 바 있다 그의 가야금병창은 리듬이 빠르고 목쓰임이 화려하며, 우조의 흐름을 보이다가 계면조로 계속 반복 변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오태석 [吳太石] (한국전통연희사전, 2014 12 15 , 전경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