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한국 현대음악 작곡계 의 거목 백병동 작곡가 인터뷰 2023 일신상 수상 기념 Composer Byung-dong Paik [World Peace Meditation]

[Sub] 한국 현대음악 작곡계 의 거목 백병동 작곡가 인터뷰 2023 일신상 수상 기념 Composer Byung-dong Paik [World Peace Meditation]

#백병동작곡가 #한국현대음악 #명상 #명상인문 #마음챙김 #마음챙김명상 #깨달음 #돈오돈수 #음악명상 #음악ai명상 #MusicMeditation #MusicAiMeditation #세계평화명상 #WorldPeaceMeditation 백병동 작곡가 (1936~ ) 인터뷰 o 인터뷰 일시 : 2023년12월22일(금) 14:30~15:10 o 인터뷰 장소 :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37길15 동아타운 21 오피스텔 316호 작곡가님 연구실 1 삶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 후 독일 하노버 국립음대에서 작곡가 윤이상에게 사사했다 1961년 신인 예술상을 필두로 대한민국 작곡상(1977, 1990년), 대한민국 무용제 음악상(1982년), 서울시 문화상(1983년), 한국음악상(1995년), 올해의 예술상(2006년), 등을 수상하였다 현재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2023년12월14일(목) 일신현대음악상을 수상하였다 2 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학사 독일 하노버 국립 음악대학교 음악대학원 작곡과 석사 3 경력 1973년-1976년 이화여자 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1976년-1988년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교수 1988년-현재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명예교수 2004년 백석대 명예박사학위 수여 2004년-2010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2008년-2010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제2기위원 4 작품 관현악곡, 현악합주곡 교향적 3장(1962) 침체된 음향(1962) 목관과 현을 위한 조곡(1963) 소프라노와 관현악을 위한 ‘진여(眞如)’(1969) 관현악을 위한 ‘정취(情趣)’(1971) 83주자를 위한 ‘변용(變容)’(1974) 3개의 오보에와 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1974) 관현악을 위한 ‘아비스’(1978) 2개의 혼과 현악합주를 위한 ‘추흥사(秋興詞)’(1981) 현악합주를 위한 ‘여울목’(1982) 관현악을 위한 ‘산수도(山水圖)’(1983) 비올라와 실내악을 위한 ‘파사칼리아’(1983) 관현악을 위한 ‘포구(浦口)’(1986) 관현악을 위한 ‘9월에’(1987) 관현악을 위한 ‘진혼(鎭魂)’(1992) 일본악기를 위한 ‘시나위’(1995) 관현악을 위한 2장(1996) 콘체르탄테 오스티나토(1999) 혼과 관현악을 위한 ‘겨울잔치’(2000 관현악을 위한 ‘해조음’(2000) 현을 위한 ‘부러진 기둥’(2003) 현을 위한 3장(2006) 협주곡 첼로 협주곡 `69(1969) 비올라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72)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1974) 실내악곡 바이올린 소나타(1960) 피아노 트리오(1960) 두 악기를 위한 12음과 세조각의 단상(1961) 첼로 소나타(1962) 현악4중주 1번(1963) 세 악기를 위한 콘트라스트(1964) 첼로 소나타 No 2(1966) 세 주자를 위한 ‘세엽(細葉)’(1971) 일곱 주자를 위한 ‘에스하베’(1972) 두 대의 하프를 위한 ‘방황’(1973) 실내(室內)(1973) 목관5중주곡(1975) 제 2 현악4중주곡(1977 일곱 악기를 위한 고전조곡(1977)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를 위한 ‘에피그람’(1978) 인성(여성)과 콘트라바스를 위한 ‘프롤로그와 에필로그’(1978) 다섯 악기를 위한 ‘시나위’(1979) 타악기 앙상블을 위한 ‘파사칼리아’(1979) 플륫, 기타ㅡ 첼로를 위한 ‘소리’(1981) 두 대의 기타를 위한 ‘기타리아나’(1984) 피아노 트리오(1985) 플륫, 클라리넷, 기타, 비올라, 콘트라바스를 위한 ‘명(冥)’(1978)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별곡(別曲)`87’(1987) 제 2 실내협주곡(1988) 마림바와 두 타악기주자를 위한 ‘반향’(1988) 첼로와 콘트라바스를 위한 5개의 조곡(1989)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다섯 개의 소품(1990) 피아노와 타악기를 위한 DUO(1990) 목관5중주곡 제2번(1999) 인간이고 싶은 아다지오(2004) 기악독주곡 어린이를 위한 조곡(1957) 송해섭의 주제에 의한 7변주곡(1959) 피아노 소나타(1960) 피아노를 위한 ‘세개의 소묘’(1961) 서정주제에 의한 ‘파라프레이즈’(1963) 피아노를 위한 고전조곡(1963) 오보에와 피아노를 위한 ‘운(韻)-I’(1970) 피아노를 위한 ‘운(韻)-II’(1972) 하프를 위한 ‘운(韻)-III’(1973) 피아노를 위한 3개의 바가텔(1973) 무반주 첼로를 위한 4개의 소품(1975) 피아노를 위한 ‘선에 관한 각서’(1978) 피아노를 위한 ‘연계(連繼)’(1978) 바이올린을 위한 ‘운(韻)-IV’(1978) 트럼본과 현을 위한 ‘운(韻)-V’(1979) 조그마한 밤의 노래(1979) 플륫과 피아노를 위한 ‘운(韻)-VI’(1981) 네손을 위한 ‘선에 관한 각서’(1982) 한 명의 플륫주자를 위한 ‘3부작’ (1982) 피아노를 위한 ‘소나테 소노르’(1985) 챔발로를 위한 3개의 바가텔(1988) 기타를 위한 ‘담즙(淡汁)’ (1990)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파사칼리아’ (1997) 스크럴 판타지(2006) 가곡 늪 (1957) score 동백꽃 (1957) 창 (1960) 푸른 묘비들이여! (1960) 부다페스트에서의 소녀의 죽음 (1960) 기분전환 (1960) 연정 (1960) 소라 (1961) 남으로 창을 내겠오 (1961) 자장가 (1961) 빠알간 석류 (1962) 나그네 (1964) 마을 (1964) 빈약한 올훼의 회상 (1966) 삼매 I (1966) 화장장에서(1968) 강강술래 (1968) 어둠과 시간과 (1968) 아리랑 (1968) 진혼가 (1973) 플륫과 소프라노를 위한 ‘아침(1973)’ 곡(哭)! 신동엽(1973) 세 개의 플륫과 소프라노를 위한 ‘아침’ (1975) 자주구름(1976) 아침 (1977) 추억 (1987) 삼매 II (1987) 바다와 나비 (1988) 귀천 (1993) 물수제비(관현악 반주) (1994) 계절그리기 (1995) 꽃에 관한 네 개의 가곡(관현악 반주) (1996) 겨울 (1997) 허행초 (2000) 그리움이(2008) 어둠(2008) 국악곡 가야금을 위한 ‘실내음악’ (1965) 가야금과 여섯악기를 위한 ‘실내음악’ 2번 (1972) 가야금을 위한 ‘신별곡(新別曲)’ (1972) 가야금을 위한 ‘명(冥)’ (1975) 국악합주곡 ‘운락(韻樂)’ (1976) 국악합주를 위한 ‘대사(對斜)’ (1977) 가야금을 위한 ‘정취’ (1977) 대금과 양금을 위한 ‘대사-II’ (1978) 타악기 합주곡 ‘사라진 영을 위하여’ (1983) 합창과 국악 관현악을 위한 ‘가요삼제’ (1985) 가야금, 훈, 좌고를 위한 ‘환명(還冥)’ (1988) 가야금 3중주곡 ‘담즙(淡汁)’ (1992) 대금5중주곡 ‘사잇소리’ (1994) 해금과 양금을 위한 ‘오늘 98년 9월’ (1998) 합주곡 ‘녹향송’ (1998) 합주곡 ‘99년을 땅에 묻다’ (1999) 명(冥)II (2004) 여창가곡 ‘불꽃이 있어야 불을 붙이죠’ (2004) 가야금과 다섯 개의 악기를 위한 실내음악 제 3번 (2006) 가야금을 위한 주제와 변주 (2007) 첼로와 국악 관현악을 위한 4장 (2007) 가야금과 현 합주를 위한 서완조 (2010) 무용음악 춘향전 (1972) 덫 (1978) 창살에 비친 3개의 그림(1980) 징깽맨이의 편지(1981) 극음악 노비문서 (1973) 이화부부 (1977) 신화 1900 (1982) 어린이를 위한 음악 파란풍선 (1977) 합창곡 대사 더듬기(1975) 밤의 강(1976) 칸타타 산하여! 아침이여! (1984) 교성곡 ‘육이오’ (1990) 오페레타 석가탑 (1967) 오페라 이화부부 (1986) 사랑의 빛(1999) 눈물 많은 초인(2001) 5 저서 음악이론 - 현대음악출판사 (1977) 일곱 개의 페르마타 - 문예비평사 (1979) 소리 혹은 속삭임 - 도서출판 은애 (1981) 화성학 - 수문당 (1984) 교양의 음악 - 지학사 (1985) 현대음악의 흐름 - 수문당 (1990) 현대음악에의 접근을 위한 비교 작곡가론 - 음악춘추사 (1996) 新別曲(가야금: 김해숙) (1987) 세 개의 바가텔(쳄발로; 혼다 마찌오) - The 17th Pan Music Festival (1989) 다섯 악기를 위한 冥 - 한•소 교류 기념음반 (1990) 9月에(KBS 교향악단) - 창악회 작품집 Vol 18 (1991) 여울목(서울바로크 합주단) - Korean Musicians 17 (1994) CONTRA (M Takahashi; Ultra Percussion) (1995) 백병동 작품집 Vol I, Vol II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