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방어전 1편, 1950년 6월 28일 전선 상황, 시흥지구전투사령부, 김포지구전투사령부, 앞으로 3일 동안 한강방어선을 지키느냐 지키지 못하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판가름난다

한강방어전 1편, 1950년 6월 28일 전선 상황, 시흥지구전투사령부, 김포지구전투사령부, 앞으로 3일 동안 한강방어선을 지키느냐 지키지 못하느냐에 따라 나라의 운명이 판가름난다

한강방어전은 서울이 함락된 이후 국군 시흥지구전투사령부 예하의 3개 혼성사단이 한강 남안에 방어선을 형성하고, 북한군 1군단 예하 3개 사단 및 1개 전차여단의 공격을 6일 동안 방어한 전투입니다. 1950년 6월 28일부터 7월 3일까지 전개된 한강방어전은 중동부전선의 6사단과 동부전선의 8사단을 제외한 거의 모든 국군 부대가 대한민국의 명운을 걸고 전투에 임했던 6.25전쟁 초기 최대의 작전이었으며, 김포지구전투사령부의 김포-오류동 전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김포-오류동 전투는 김포읍과 김포비행장이 실함된 이후 국군 김포지구전투사령부가 김포비행장 역습을 비롯해 오류동 일대에 방어선을 형성하여 북한군 6사단의 공격을 7월 3일까지 방어한 전투입니다. 북한군 주공부대인 1군단 예하 3사단과 4사단, 105전차여단은 1950년 6월 28일 오전 11시 30분경 서울 중심부로 진입했으나, 국군의 산발적인 저항을 무력화시키고 서울을 완전하게 장악한 시점은 6월 28일 늦은 밤이었습니다. 이 무렵 개성을 거쳐 문산 방향으로 진격해온 북한군 1사단은 파주시 봉일천리에서 국군 1사단 방어선을 뚫지 못했고, 한강 하구를 건너 김포반도를 통해 진격해온 북한군 6사단은 김포비행장 부근까지 진출해 있었습니다. 조공인 북한군 2군단은 국군 6사단의 선방으로 춘천 점령이 늦어지고 홍천 북쪽에서 저지되면서, 국군을 수원 북쪽에서 2차로 양익 포위하여 섬멸한다는 작전계획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6월 28일 서울 함락 시점을 기준으로 대체적인 전선은 김포-봉일천-한강 남안-홍천-대관령-강릉을 잇는 선에서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북한군에 점령된 서울은 순식간에 공산주의자들의 세상으로 변했고, 거리에는 북한군 전차가 위세를 과시하고 있었습니다. 서울을 장악한 북한군은 곧 마포형무소와 서대문형무소를 비롯해 각 경찰서에 수용되어 있는 정치범은 물론 일반죄수들까지 모조리 석방시킨 후, 이들을 인민의 영웅으로 치켜세우고 북한군을 환영하는 선봉에 내세우면서 우익인사들의 색출에 앞장을 세웠습니다. 이들은 ‘인민군이 이미 대전, 김천, 군산, 원주 등을 점령하고 계속 남진 중이다.’라는 유언비어를 살포하여 많은 피난민들이 다시 돌아오도록 유도하기도 했습니다. 6.25전쟁에 대한 많은 영상이 있지만, 기초적인 사실 조차 확인하지 않은 영상들이 너무 많습니다. 심지어 공영방송의 다큐멘터리도 조차도 사실과 다른 부분을 이야기하는 형편입니다. 6.25전쟁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영상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참전했던 국군과 미군의 회고록, 미국 논픽션 전쟁사 작가의 간행물, 중공군 참전기록 등 다양한 정보를 교차 검증하여 가장 정확한 6.25전쟁 정보를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6.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북한의 기습남침으로 시작되어 3년 1개월 2일 만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 민족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상처를 남긴 채 종전이 아닌 휴전의 형태로 정지된 비극적 전쟁입니다. 자유진영 전사자는 한국군 149,005명, 미국을 포함한 유엔군 40,306명 등 189,311이 희생되었습니다. 공산진영은 북한 294,000명, 중공 197,653명, 소련 315명 등 491,968명이 전사했습니다. 6.25전쟁으로 인해 민간인을 포함하여 5,991,484명이 희생되었습니다. 5,991,484명의 희생자 중 5,218,480명이 한국인입니다. 한국인 인명 피해로만 본다면 고구려-수나라 전쟁, 고려-몽골 전쟁,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역사에 기록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모든 대외전쟁을 합친 것 보다 많습니다. 불과 70여 년 전 한반도를 피로 물들인 6.25전쟁은 반만년 한민족 역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없는 최대 규모의 전쟁이었습니다. [참고자료] 6.25전쟁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 주요전투(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영웅(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중국군의 한국전쟁사(국방부, 군산편찬연구소), 낙동강(류형석, 플래닛미디어), 6.25전쟁 징비록(백선엽, 책밭), 기갑전으로 본 한국전쟁(권주혁, 지식산업사), 6.25전쟁과중공군(박실, 정미디어), 6.25전쟁(존 톨랜드, 바음), 콜디스트 윈터(데이비드 헬버스템, 살림), 이런전쟁(T. R. 페렌바크, 플래닛미디어), 중국군의 한국전쟁사(중국 군사과학원 군사역사연구부), 한국전쟁(왕수쩡, 글항아리), 중국이 본 한국전쟁(홍학지, 한국학술정보), 항미원조(리펑, 다른생각) [영상 출처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