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압기 치료 장단점, 주의사항

양압기 치료 장단점, 주의사항

양압기 치료 장단점, 주의사항 수면 호흡장애의 치료 목표는 눈에 보이는 무호흡만 없애는 것이 아니고 수면시 뇌파를 비롯한 심박동수, 산소 포화도 근육 이완등이 정상으로 되는 것이 치료의 완결입니다. 양압기로 수면 무호흡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뇌파, 심장, 산소 포화도, 근전도를 다 붙이고 양압기 압력을 적용 시켜 무호흡 저호흡 호흡노력각성(뇌파 측정시) 코골이 산소포하도 등이 전부 정상이 되는 압력을 치료적정압력 (optimal pressure)라 하고 이 압력만 학회 및 의학적 치료 압력으로 인정 합니다. 현재 미국에서는 양압기 압력측정 결과에 따른 의사 처방 적정압력 (수동압력) 만이 medicare 나 사보험에서 보험 인정이 되고 의사 처방없는 자동 양압기는 치료 기기로 인정 받지 못합니다. 자동양압기는 무호흡이 양압기 기계에서 측정되면 그때 기계가 가동 되어 공기가 들어가서 무호흡만 없애주고 뇌파 까지는 맞추지 못하는 즉 뒷북치는 효과 이므로 치료개념이 정확한 뇌파 측정과 수면검사로 입증된 적정압력(수동)보다 떨어져서 미국수면학회에서는 자동양압기 치료 가이드를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함부로 사용을 경고 합니다. 자동 양압기 는 1)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기 위해 수면다원검사 없이 자동양압기를 그냥 쓰지 말것 2) 다음과 같은 경우 자동 양압기를 사용해서는 않된다. a) 심장질환, 폐질환 특히 만성폐쇄성폐질환 b) 수면다원검사상 산소 포화도 저하가 동반된 저환기 증후군 환자 c) 코를 골지 않는 수면무호흡 환자( 코골이 수술 이후 코 골지 않는 환자도 작용) d) 수면다원검사상 중추성무호흡이 있는 경우 3) 자동양압기 사용이 어렵거나 증상 호전이 해결되지 않은 경우 양압기압력측정검사를 반드시 시행해서 적정압력 (수동 압력)으로 치료 한다. 최근 학회에서는 수면다원검사상 중추성 무호흡이 없던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들이 양압기적정압력검사 시행중 갑자기 중추성 무호흡이 나오는 복합성 호흡장애 환자들이 전체 환자의 15-30%까지 발생되어 이를 확인하지 않고 자동 압력기를 쓰는 환자에게 주의를 제기 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complicated sleep apnea 복합수면장애호흡이라 하고 이런 경우 중추성호흡장애 준한 양압기를 선택하고 필요시 약물 치료도 같이 병행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