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체감실업률은 '사상 최악'...앞으로 과제는? / YTN
■ 진행: 박석원 앵커 ■ 출연: 김평정 / 경제부 기자 [앵커] 경제부 김평정 기자와 더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청년층 4명 가운데 1명이 현재 또는 미래의 실업자란 말이 무척 크게 다가오는데요 이 때문에 일자리 문제 앞으로도 해결할 부분이 많은 것 같아요 [기자] 먼저 확장실업률 개념을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실업률을 따질 때 지원서 제출 같은 최소한의 구직 활동을 해야 통계에 실업자로 잡히거든요 그렇게 집계된 청년층의 실업률은 10 8%입니다 그런데 지원서를 내지 않고 취업 준비 단계에 있어도 보통은 구직자라고 생각하잖아요 이런 사람들을 다 합쳐서 실업률을 따진 게 확장실업률이고, 체감실업률이란 말로도 부릅니다 실제로 청년층이 체감하는 실업률은 25%나 된다는 게 이번 통계 결과고요 이 때문에 전체 취업자가 늘었다는 집계에 안심할 수만은 없는 게 현실입니다 [앵커] 청년층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의 허리라 할 수 있는 30∼40대 취업자가 계속 줄고 있는 것도 문제잖아요 이 역시 경기둔화의 방증이란 분석도 있던데요? [기자] 경기둔화가 지속하고 있다는 방증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40대 취업자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가 제조업 일자리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 제조업은 상대적으로 질 좋은 일자리이자 대부분 민간 일자리거든요 경기둔화로 민간 기업이 고용을 줄이고 그 결과로 한창 일할 나이의 청장년층의 취업난이 계속되는 겁니다 특히 40대는 인구가 줄어드는 것보다 취업자가 더 많이 줄었기 때문에 고용 부진이 확실하다고 진단되고요 이 나잇대의 취업자 감소는 우리 경제의 생산성도 낮아지고 있다는 걸로도 해석할 수 있습니다 [앵커] 결국, 경기가 더 좋아져서 민간 일자리가 늘어야 해결될 수 있단 얘긴데, 사실 쉽지 않은 일이잖아요 정부도 고심이 깊을 것 같은데요? [기자] 노인만을 위한 일자리란 말을 듣는 공공 일자리도 정부로선 고육지책이라고 할 수 있거든요 다만 모든 구직자를 공공 일자리나 공무원으로 수용할 수는 없는 일이니까, 당연히 민간 일자리를 늘리는 데 정책 역량을 쏟아야 하고요 홍남기 부총리도 오늘, 수출 둔화 여건을 고려하면 당분간 고용의 불확실성이 지속할 것으로 본다며 제조업 일자리를 늘리는 데 각별한 정책적 대응을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하반기로 갈수록 민간 일자리 중심으로 고용 문제 개선에 속도를 낼 것이냐에 따라 정책의 성패가 갈릴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김평정[pyung@ytn co kr] 기자 수고했습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8585@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